•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co- Friendly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Pavilion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3.08
12P 미리보기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논리성
    • 실용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환경 문제에 대한 혁신적이고 심층적인 접근 제공
    • 🔬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 공간디자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방법론 제시
    • 💡 단순 재료적 접근을 넘어선 사회적, 체험적 친환경 디자인 통찰 제공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5호 / 465 ~ 476페이지
    · 저자명 : 이민철, 권영재,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기후와 환경 오염이 심해짐에 따라 시대의 모습을 반영하는 성격을 갖는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적 특성을 반영하며 그 가치를 더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공간을 상징적으로 시각화하고 우리가 직면한 미래의 친환경 공간을 경험할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른 전시 파빌리온의 공간적 특성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환경에 대한 전 세계적인 첫 협약인 2015년 파리 기후협약 이후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 세계적으로 높아진 상태에서 구축된 전시 파빌리온의 사례 중 친환경 공간 디자인의 특성이 나타나는 사례로 한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전시 파빌리온과 친환경 공공디자인 개념을 탐구한다. 둘째 전시 파빌리온의 특성과 친환경 공간 디자인의 특성을 바탕으로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 공간디자인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사회적, 체험적, 조형적 특성을 토대로 사례 분석한다. 사례는 단편적으로 재료만의 친환경이 아닌 체험과 사회적 관계를 맺음으로 친환경 디자인을 총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사례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세부 내용으로 친환경 재료의 다양한 비교 분석을 위해 플라스틱, 나무, 혁신 재료 등으로 나눠 재료 간의 장단점을 비교하며 사례를 통해 각 구성요소가 어떤 특징으로 관람객에게서 긍정적 인식을 이끌어 내는지 분석한다. (결과) 단순히 친환경적인 재료 사용만으로는 친환경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지는 못하였다. 관람객들에게 공간을 체험하거나 관람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관계가 형성되고 친환경에 대한 연대를 만들어 낼 때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 공간디자인을 경험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전시 공간을 뛰어넘어 관람객의 인식을 바꾸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혁신적인 대안으로 미래의 친환경 공간디자인으로 인식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요소로 보인다. 친환경이 적용된 전시 파빌리온을 통해서 미래 공간을 제시 할 때 친환경 공간 디자인이 환경을 보호하는데 혁신적이고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의 목표는 단순히 재료적인 친환경성을 넘어서, 실질적으로 친환경 디자인을 설득할 사회적, 조형적, 체험적 특성을 반영하여 친환경의 가치를 관람자로 하여금 필요성을 깨닫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 공간 디자인이 적용된 사례 6곳만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사례 표본적 한계를 갖고 있다. 향후 본 연구자는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사례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구체화하는 연구를 지속하게 될 것을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With concerns about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exhibition pavilions are increasingly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times by integrating ecofriendly spatial design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such spaces and examine the unique spatial attributes of pavilions that align with eco-friendly themes. (Method)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confined to the study of exhibition pavilions constructed in the context of heightened global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following the 2015 Paris Agreement, the first-ever worldwide agreement of its kind. Specifically, the focus was narrowed to cases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an eco-friendly spatial design were eviden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se guidelines. First, by draw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exhibition pavilion and the eco-friendly spatial design, the attributes of an eco-friendly spatial design specific to the exhibition pavilion were derived. Second, we conducted a case analysis based on the derived aspects of sociality, experientiality,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cas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a standard that emphasizes a comprehensive eco-friendly design experience rather than merely the eco-friendliness of the materials used to form experiential and social relationships. Third, for a detailed analysis of the various eco-friendly materials, the materials were categorized into plastic, wood, and innovative materials, with a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conclusion, by examining these cases, we analyzed how each component contributed to positive perceptions among viewers. (Results) The integration of eco-friendly materials into exhibition pavilions, while noteworthy,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visitors' perceptions of their environment. More impactful were the new relationships and connections formed through the direct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that visitors had with these spaces. These engagements fostered a profound sense of solidarity with the environment, acting as a pivotal factor in altering perceptions beyond what is merely visible within the exhibition space. Such findings appear as a compelling proposal, suggesting that the future of eco-friendly spatial design can present an innovative alternative. As evidenced by the pavilions that have incorporated these eco-friendly elements, the presentation of such future spaces unequivocally demonstrates that eco-friendly spatial design has innovative and novel potential in the realm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nclusions)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move beyond mere material eco-friendliness. By emphasizing the social, formative, and experiential factors, we can highlight the value of eco-friendly design and motivate visitors toward the urgency of its adoption. Embracing eco-friendly spatial designs is imperative in our current era.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o six case samples of eco-friendly spatial designs in exhibition pavilions. In the future, we aspire to systematically and quantitatively analyze a broader array of cases, paving the way for further refinement in the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