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작, 토론, 비평을 활용한 에어로빅 가르치기: 반성적 수업모형(the ORDER approach)을 적용한 대학 교양 수업 사례연구 (Teaching Aerobics as an Elective Course Using Creation, Discussion, and Critic: A Case Study Based on the ORDER approach)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3.10
22P 미리보기
창작, 토론, 비평을 활용한 에어로빅 가르치기: 반성적 수업모형(the ORDER approach)을 적용한 대학 교양 수업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20권 / 4호 / 21 ~ 42페이지
    · 저자명 : 홍애령, 임수진

    초록

    대학 교양체육수업은 각 분야의 예비전문인으로서 대학생들이 신체적, 인지적, 정의적 측면의 기본적인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최의창, 2010). 본 연구는 단순한 기능중심 교양체육수업을 지양하고신체활동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실천, 무용소양의 함양을 위해 Lavender(1996)의 반성적 수업모형(the ORDER approach)을 적용한 대학 교양 에어로빅 수업의 사례를 소개한다. 매 학기 반성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구성 및 운영, 학생 관찰 및 면담, 수정 및 보완 단계를 거듭하여 기능연습 및 분석, 창작, 비평 활동이 통합된 에어로빅 수업을 개발하였다. 2011년 3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총 5개의 에어로빅 수업에서 점진적으로 반성적 수업모형을 적용하였다. 매 수업의 주요 장면을 사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관찰하고, 이상적 사례 선택(Goets & LeCompte, 1984)으로 선정한 총 10명의 학생들을 면담하였다. 반성적 에어로빅 수업을 운영한 결과, 학생들이 인식한 에어로빅 수업의 변화는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기능 숙달 및 체력증진 중심”에서 “움직임 이해 및 실천 중심”으로의 목표 변화이다. 둘째, “동작 배열 및 연습 중심”에서 “동작구성 및 창작 중심”으로의 내용 변화이다. 셋째, “지시 및 연습형”에서 “토론 및 반성형”으로의 방법 변화이다.
    넷째, “주1회 맛보기”에서 “한 학기 습관화”로의 참여 변화이다. 다섯째, “졸업 필수 1학점”에서 “생활 필수 1종목”으로의 인식 변화이다. 또한 학생들이 발견한 에어로빅의 교육적 가치는 운동적 가치, 심미적 가치, 조화로운 삶의 가치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움직임 및 창작활동을 장려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수업 개발과 교양체육 교수자의 반성적 성찰 및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erobics class in liberal arts course and its curriculum based on the ORDER approach(Lavender, 1996). This aerobics class aims at cultivating dance literacy and focusing more on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physical activities than on skills improvement in an elective course. The ORDER approach, which is five steps necessary for critical evaluation, stands for observation, reflection, discussion,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s for revisions. In this study, we gradually developed the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ORDER approach at each semester from March to December, 2011. For that, we have also developed an integrated curriculum of an aerobics class including skills practice and analysis, choreography, and critical evaluation through a repeated process of curriculum making and management, observation in class,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followed by modifications. Each class has been video-recorded and some pictures of students’ performance have been taken as well.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students selected by the reputational case selection(Goets & LeCompte, 1984).
    Finding revealed that there were five significant changes the students perceived in the class. First, the objectives change from improving athletic skills and physical strength to understanding movement and implement. Second, the subject matter changes from merely putting steps together and practicing the steps to making creative movements. Third, the teaching method changes from practice to discussion and reflection. Fourth, the students’ attitude towards an aerobics class changed.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every week for the whole semester instead of enjoying themselves or even killing time in class once a week. Lastly, it is now regarded not only as a class to take for credits to graduate but also as a subject which helps them live a better life. These results show that an aerobics class in liberal arts course requires thorough lesson plans and the teachers’ reflective and practical knowledge to encourag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to develop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to make creative mov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