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落齒: 쇠락하는 신체의 발견과 그 수용의 자세 (Reaction to Aging in Sino - Korean Poetry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Loosing Teeth)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6.06
28P 미리보기
落齒: 쇠락하는 신체의 발견과 그 수용의 자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44권 / 117 ~ 144페이지
    · 저자명 : 송혁기

    초록

    낙치는 머리로만 알던 노화가 나의 문제로 강렬하고 고통스럽게 체험되는 순간이다. 순차적이면서 분절적인 낙치의 진행을 거치며 당사자는 노화를 어쩔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이게 된다. 서서히 진행되는 신체의 쇠락을 문득 ‘발견’하게 만드는 경험인 낙치를 제재로 삼은 한문학 작품들을 대상으로 삼아, 노년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살피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노화의 진행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정한다 해도, 막상 낙치를 경험했을 때 느끼는 것은 당혹감이다. 낙치로 인한 외모 및 발음의 변화는 부끄러움과 대인기피로 이어지기도 한다. 당혹감과 부끄러움은 좌절을 낳는다. 이미 진행되어버린 노화에 대한 일차적인 반응은 이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순응하는 것이다.
    인정과 순응을 넘어서서, 노화에 대한 인식을 전환함으로써 스스로를 위로하는 길도 있다. 노화가 진행될 나이까지 살았다는 것 자체가 이미 감사할 일이며, 낙치로 인해 잃는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얻는 것도 있다. 조금 거리를 두면 낙치는 해학의 소재로도 적당하다. 낙치를 빌미로 상대에게 농을 걸기도 하고 낙치 자체를 희화하여 시를 짓기도 한다. 씹지 않고도 넘길 수 있는 술 밖에 못 먹으므로 술을 즐길 이유가 더해졌다는 말도 자주 등장하는 해학이다. 많은 작가들이 낙치를 해학으로 다루고 놀이처럼 시를 지었다. 시를 통한 놀이와 해학이야말로 쇠락해 가는 신체를 위한 정신적 자위의 방법이다.
    노년이라는 이유로 젊은 시절에는 금기시되던 것에 대한 자유를 누리는 길을 택할 수도 있다. 물론 적극적으로 얻어낸 자유가 아니라 그저 노화와 함께 주어져버린 자유이긴 하다. 나아가 노화로 인한 깨달음을 표현한 작품들도 있다. 노화 자체가 깨달음의 충분조건은 아니지만, 노년에 이름으로써 얻게 된 ‘일 없음의 자유’는 그 전에 보지 못한 것을 볼 수 있게 하며, 젊은 날에는 알 수 없었던 흥취를 누리게 하기도 한다.
    노년의 나는 지금의 나와 일도선상의 시간 위에 놓여 있다. 노년의 나는 바로 나인 것이다. 그런 면에서 노년의 문제는 아직 노년에 이르지 않은 이들의 것이기도 하다. 문학을 통해서 노년에 일어나게 될 신체 변화를 지금 나의 신체와 감각을 가지고 추체험하는 것은, 그래서 매우 독특하고 의미 있는 일이다.

    영어초록

    Since experience of losing one’s teeth means sudden discovery of aging in the middle of gradual process of growing old, Sino-Korean writings about lost teeth show the attitude of recognizing and accepting the evening of one’s life.
    It is embarrassment that people feel when their teeth fall out with aging. Their appearance and pronunciation changes due to lost teeth, and it sometimes ends up with the sense of shame and socialphobia. The feeling of embarrassment and shame easily turns into depression. The common reaction to the reality of the ongoing aging process is just to admit and accept it.
    One can also change his attitude toward aging to reconcile oneself, being grateful of having a long life enough to loose teeth. It can be a good subject to make fun of when standing apart from it, like many writers chose to make jokes and versify humorous poems on loosing teeth. Being humorous is also a good way of self-consolation for withering body.
    In addition, there are some works showing wisdom coming with aging. Even though aging itself never guarantees someone's wisdom, seniors’ freedom from duty sometimes gives them new perspective to see what they couldn’t see when young.
    Since the aged and the young are standing on the same path of time, the reality that the elders face with also matters to those future oldsters. That’s where we can find the unique feature of the imaginary experience of aging through literature, sensing and feeling the old body via personal body experience not yet o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