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스턴트 메신저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 20대와 장년층의 특성비교연구 -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ose in Their Twenties and Elderly Citizens in Using Instant Messenger Emoticons - Centering on Kakao Talk Emoticons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5.06
12P 미리보기
인스턴트 메신저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 20대와 장년층의 특성비교연구 -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3권 / 2호 / 145 ~ 156페이지
    · 저자명 : 이혜경, 고은영

    초록

    현재 모바일 SNS 애플리케이션 중 인스턴트 메신저는 자신의 감정과 의견을 표현하고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인간관계적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가장많이 사용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인 카카오톡의 기능 중 감성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이모티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세대에 따라 이모티콘의 이용 특성과 이용 시의 정황과 맥락은 차이가 있을 것이기 때문에 20대 청년층과 50대장년층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감성 표현 양상을 살피고 그 특성의 그 차이와 이모티콘이 어떻게 사용자의 감정을 표현하고 행동을 표현하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1차 기존의 선행연구를 연구하고, 2차 20대 청년집단과50대 장년층집단을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시행하였다. 3차 연구방법으로 카카오톡의 상업적 이모티콘을 제외한 기본 이모티콘 292종을 바탕으로 분류 설문지를작성한 후 1:1 심층면접법(1:1 in-depth interview) 형식으로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20대가 선호하는 이모티콘은 상대 대화자에게 이모티콘 사용자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동시에모바일 대화에서 응결성이 있는 스토리를 제공하는 확장표현으로서의 행동 표현적 이모티콘을 선호하는 반면 장년층은이모티콘을 단순 표현의 목적으로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모티콘 GUI개발에 있어 20대에게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표현하는 행위적, 스토리텔링적 이모티콘을 개발해야할 것이며, 장년층을 대상으로는 의미해석이 분명한 타이포가 포함된 이모티콘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화하여 20대와 장년층의 주요 모바일 메신저인 카카오톡 이모티콘에 관해 사용자 입장에서 어떤 특성으로 보이는지에 관한 차이를 비교연구함으로써 이모티콘 개발함에 있어 연령대별 특성 중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할지 상용 적 관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Currently, Instant Messenger among mobile SNS applications ha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elationship such as expressing user’s emotions & opinions and of forming/keeping relationship with others. Accordingly, this thesis found the need for researching emotion-expressing/conveying e-moticons used by Kakao Talk, one of the most used instant messengers in Korea . Since use characteristics, situations and contexts of e-moticons may differ by age, it compared those of young generation in their 20s with those of the older generation in their 50s to see how they express their emotions and based upon the difference of their use characteristics, it studied how e-moticons express their behaviors and emotions. For this purpose, the foregoing researches were looked into and the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done targeting those in their 20s and 50s. Finally, a questionnaire was made based on the basic 292 e-moticons excluding Kakao Talk’s commercially used ones to conduct a survey in the form of one-on-one in-depth interview.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those in their 20s prefer behavior-expressing e-moticons, as expanded expression, specifically depicting user’s situation to the other party yet providing concise stories during mobile conversation but those in their 50s use them for the purpose of simple expression. In this regard, the current researcher has reached the conclusion that behavioral/story-telling e-moticons expressing various life styles should be developed for those in their 20s while e-moticons whose meaning is clearly interpreted should be developed for those in their 50s. In a try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existing studies, the current study comparatively researched what differing characteristics are shown from the user’s side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50s in relation to Kakao Talk e-moticons, one of major mobile messengers and 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important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ercial use, on what should be considered among by-age characteristics when e-moticons are develop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