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19세기 감영소재지의 인구구성과 향리층의 존재양상 ―경상도 대구부 동상면을 중심으로 (Population Composition and Existence Patterns of Hyangri in the Site of a Governor's Office in the 18th~19th Century : With a focus on Daegu, Gyeongsang Provinc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0.09
24P 미리보기
18~19세기 감영소재지의 인구구성과 향리층의 존재양상 ―경상도 대구부 동상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71호 / 43 ~ 66페이지
    · 저자명 : 권기중

    초록

    지방관이 거주하던 읍치지역의 인구 구성은 사족과 농민의 생활공간인 촌락지역과는 차이가 있었다. 이 지역은 행정사무를 보던 향리층을 비롯하여 군관, 포졸, 관노비 등 대다수의 관속층이 거주하던 곳이었다. 뿐만 아니라 관아에 물품을 납품하던 장인층, 상인층도 읍치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특히 대구의 읍치지역은 감영이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인구층이 더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이 지역의 계층별 호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먼저 상층호의 호수와 점유율은 시기가 지날수록 늘어났다. 그런데 상층호의 변화양상은 동일한 시기 대구의 농촌지역과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농촌지역 상층호의 점유율은 19세기에 와서 65%를 넘어서는데 비해, 읍치지역인 동상면 상층호의 점유율은 10%내외에 불과했다. 농촌지역과의 차이는 중층호나 하층호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지역에 따라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부세 수취방식의 변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19세기 조선사회는 개별인신적 부세수취 대신에 면 혹은 리 단위로 세금을 총액제로 거두었다. 따라서 상층인구를 의미하는 ‘幼學’을 칭하더라도 동네에 부과된 부세에 대해 납세의 의무가 있었다. 하지만 읍치지역은 그 직업구성이 행정관아와 연관된 경우가 많아 농촌 지역과는 달리 여전히 개별 인신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대구부 읍치지역 인구구성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향리층은 18~19세기 중엽에 걸쳐 110개의 성관에서 모두 1,264명이 확인되는데, 이 가운데 436명이 5개 성관 출신이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대구부 동상면은 전통적인 향리층이 향리사회를 주도하는 상황 하에서 면내에 상존하는 다른 계층에서도 부내의 행정 업무를상당부분 담당하던 행정중심지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opulation composition of a district where local government officials lived was different from that of villages where the noble families and farmers lived. A district would be mostly occupied by Hyangri, who were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ffairs,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servants including military officials, policemen, and government servants. In addition, a district was also the main stage of craftsmen and merchants who supplied goods to government offices. In particular, the district of Daegu hosted a governor's office and thus had a bigger percentage of those population groups.
    As for changes to the houses of each social class in the region, the number and occupancy rate of the upper class houses gradually increased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change pattern of the upper class houses was wide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agricultural areas in Daegu during the same period. In the agricultural areas, the occupancy rate of the upper class houses exceeded 65% in the 19th century, but the percentage was only around 10% in Dongsangmyeon Distric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istrict and agricultural areas were the same with the middle and lower class houses. Such differences between areas can be explained by changes to the ways that taxes were collected. In the Chosun society of the 19th century, the government collected total taxes imposed on myeons or ris instead of individuals. Thus the "Yuhak" referring to the upper class population had to pay taxes imposed on their villages. However, the districts would still have to collect taxes imposed on individuals unlike the agricultural areas since many of their residents were working for an administrative office.
    Well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composition of the Daegubu District, the Hyangri population totaled 1,264 at 110 seonggwans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Among them, 436 came from five seonggwans. Thus it is estimated that the traditional Hyangri led the Hyangri society in the Dongsangmyeon of Daegubu with other classes living within the Dongsangmyeon taking care of many administrative affairs of the Daegubu, which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