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령층을 위한 박물관용 근거리 위치 기반 태블릿 인포메이션 시스템의 GUI 디자인에 관한 기초 연구 (Basic study on GUI design of short-range location-based information systems for museums tablet for the elderly)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5.12
11P 미리보기
고령층을 위한 박물관용 근거리 위치 기반 태블릿 인포메이션 시스템의 GUI 디자인에 관한 기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6권 / 6호 / 27 ~ 37페이지
    · 저자명 : 고계원

    초록

    2000년대 후반부터 터치스크린 기반의 기기들이 확대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기존보다 월등히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터치스크린 기기로 인해 고령층도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 하는 빈도가 높아졌지만, 여전히 첨단기기의 사용에 어려움이 있어 본 연구를 통해 그것을 보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터치스크린 기반 인포메이션 기기의 접근성과 사용성에 관한 이슈와 그 발전 방향 등을 국내외 연구들을 통하여 고찰함으로써, 그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시스템 EASyITT (Elderly Adapting to the System of Information Touch-screen Technology(고령층의 접근성을위한 터치스크린 기술 정보 시스템)) 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EASyITT은 실제 현실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배열하여, 물리적인 사용 환경과 가상의 공간을 연결해줌으로써,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효율적으로 접근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EASyITT의 활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Musical Instrument Museum(미국 애리조나 피닉스 소재 악기 박물관)의 동아시아 관을 중심으로 박물관용 Prototype을 개발하였으며, 그후 같은 지역의 선별된 고령층을 대상자로 하여 연구에 맞춘 시나리오와 직무 수행 목표를 전달하고, 2차례의 직무수행과관찰 및 면담을 통해 사례 연구를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 연구를 통해 얻은 사용자 경험 Feedback을 통해 앞으로의 EASyITT 연구에 반영하고, 발전시켜 장래에 터치기반 정보시스템에 근거리 위치정보를 활용한 공공장소용 정보서비스시스템에 연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 widespread adoption of touchscreen devices in the last ten years promised intuitive and easy-to-use interfaces for our elderly population and to make it easier for them to interact with digital content. This promise remains largely unfulfilled, however. This research proposes methods and features that would better integrate the elderly into our digital landscape. This paper evaluates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issues that are raised when elderly users interact with touchscreens. It uses the findings of that research to design a digital interface for the elderly: EASyITT (Elderly Adapting to the System of Information Touchscreen Technology). Its goal is to aid users who are unfamiliar with digital environments to more effectively interact with electronic content. It uses real world location-tracking technology to connect the user's physical environment with the designed digital space. As part of the current research, a prototype of EASyITT was developed for the Musical Instrument Museum's Southeast Asia wing, which is located at Phoenix, Arizona.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volving a group of elderly users selected from the same area. This involved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the scenario being tested, incorporating initial feedback and comments, and observing the group members interacting with the prototype. User experience feedback from the case study was used to further research and develop EASyITT. Finally, the research proposes additional research into touch-based digital systems that use location data in context of information service systems for public sp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