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해도 해주 지역 3·1 운동의 전개와 성격 -주도층 변화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in Haeju of Hwanghae-do and its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Change in Leading Groups)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5.05
43P 미리보기
황해도 해주 지역 3·1 운동의 전개와 성격 -주도층 변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90호 / 87 ~ 129페이지
    · 저자명 : 김철현

    초록

    해주는 황해도의 17개 군 중 가장 많은 만세운동이 일어난 지역이자 황해도 남부 만세운동의 시발점이 되는 지역이었다. 이러한 상징성에도 불구하고 해주 지역 3·1운동에 관한 연구는 그 전개 과정을 밝히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 이에 일제 수형자료와 신문자료 등을 활용하여 해주 3·1운동의지역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해주는 황해도 도청이 위치한 중심 도시였을 뿐만 아니라 개성과 더불어상업이 크게 발달해 있던 지역이었다. 황해도의 중심지였던 만큼 유림이활발히 활동했던 지역이었으며, 일찍이 교육 시설이 확충되어 학생층 역시성장해 있었다. 또한, 기독교와 천도교가 널리 퍼져 그 지역적 지반이 탄탄한 곳이기도 했다. 이러한 해주에서 시행된 국유지조사 사업과 일본 정부의 쌀 매입 정책은 해주 농민과 상인들의 불만을 야기하였다.
    해주 지역 3·1운동은 3월 1일부터 4월 11일까지 전개되었다. 3월 1일종교계의 주도로 시작된 만세운동에 학생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그 시위 규모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강력한 탄압으로 인해 해주 지역3·1운동은 3월 17일 시위를 마지막으로 잠시 소강상태에 들어갔다. 3월말, 해주면을 중심으로 다시 시작된 만세운동은 더욱 격렬한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해주군 주변부로 확산되었다. 해주군 외곽지역으로 확산된 만세운동은 4월 11일까지 전개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해주 지역 3·1운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주 지역 3·1운동이 황해도에서 가장 먼저 일어날 수 있었던 것은 해주 기독교계가 중앙 기독교단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었다. 둘째, 해주의 3·1운동은 황해도에서 일어난 3·1운동 중 가장 오랜 기간 전개되었다. 이는 황해도 북부 지역과는 구분되는 해주만의 특징이었다. 셋째, 해주지역 학생들은 만세운동의 대중화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해주 학생층의 이러한 역할은 선행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았던 해주 지역 3·1운동의새로운 모습이었다. 넷째, 해주 지역민들이 만세운동의 주도층으로 성장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기생, 상인, 농민 등은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을 기반으로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민들이 만세운동의 주도층으로 성장하며, 만세운동이 해주군 서쪽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본고에서 살펴본 해주 지역 3·1운동의 모습은 만세운동의 전개만을 규명했던 기존 연구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수안 지역과는 다른 황해도 3·1운동의 모습을 밝혔다는 점에서 지역사적 의의를 찾을수 있다.

    영어초록

    Haeju is the region where the Manse Movement took place the most among the 17 guns of Hwanghae-do and also a starting point of the southern Manse Movement in Hwanghae-do. Despite that symbolicity of it, research on the 3·1 Movement in Haeju has just remained in the step of understanding its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figure ou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3·1 Movement in Haeju by utilizing such materials as the Japanese Empire’s imprisonment data and newspaper articles.
    Haeju was not only a central city of Hwanghae-do where there was a do (provincial) office but a region much developed commercially along with Gaeseong. As it was the center of Hwanghae-do, Yurim did work actively in it, and as education facilities were expanded in it early, a large number of students were there, too. Also, Christianity and Cheondogyo were widely spread in it and laid their regional grounds solidly there, too.
    The land investigation project and the Japanese government’s rice purchase policy implemented in Haeju, therefore, did arouse complaints from the farmers and merchants in it.
    The 3·1 Movement in Haeju developed from March 1st till April 11th.
    As the students joined aggressively in the Manse Movement initiated by the religious circles on March 1st, the demonstration became enlarged. Due to the Japanese Empire’s severe suppression, however, the 3·1 Movement in Haeju came to a lull for a while with the demonstration on March 17th as its end. At the end of March, the Manse Movement restarted around Haeju-myeon in even fiercer forms and got dispersed up to the peripheral areas of Haeju-gun. The Manse Movement spread to the outskirts of Haeju-gun developed until April 11th.
    Based on the contents above, this author can sum up the characteristics of the 3·1 Movement in Haeju as follows. First, the 3·1 Movement in Haeju did take place first in Hwanghae-do because the Christian circles of Haeju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entral Christian group. Second, the 3·1 Movement in Haeju lasted the longest among the ones that occurred in Hwanghae-do. This is attribut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aeju differentiated from the northern area of Hwanghae-do. Third, the students in Haeju did play a crucial role in popularizing the Manse Movement. The role of the student group in Haeju was a new aspect of the 3·1 Movement in Haeju which advanced research failed to discover. Fourth, it is observed that the locals in Haeju grew as the leading people of the Manse Movement. The people including gisaeng, merchants, or farmers led the Manse Movement grounded on the regions they resided in. In this way, the local people became the leaders of the movement, and the movement was concentrated in the western part of the Haeju.
    This study has examined the aspects of the 3·1 Movement in Haeju, and it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complementing advanced research that deal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anse Movement only. Also,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regional history as it revealed the aspects of the 3·1 Movement in Hwanghae-do differentiated from Su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