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로발달 과정에서 저소득층 대학생들이 경험한 탄력성의 의미 (Meanings of Resilience Experienced by Low-income College Students in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9.11
16P 미리보기
진로발달 과정에서 저소득층 대학생들이 경험한 탄력성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 수록지 정보 : 청소년시설환경 / 17권 / 4호 / 117 ~ 132페이지
    · 저자명 : 김서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발달 과정에서 저소득층 대학생들이 경험한 탄력성의 본질적 의미가 어떠한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질문에 풍부하게 응답할 수 있는 저소득층 대학생 총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한 후 2~3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만나는 방식으로 종단적 질적 연구를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들은 15개의 하위구성요소를 토대로 ‘웅크려 첫발 내딛던 어린 꿈’, ‘덫이자 동력인 내 처지’, ‘진로보다 세상 이치를 배운 대학’, ‘꿈꾸기에 앞서 결핍 메꾸기’, ‘비빌 곳 없이도 버티고 섬’의 총 5개의 상위구성요소와 같이 진로발달 과정에서의 탄력성을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은 본질적 주제인 ‘포기와 포부로 이어진 꿈의 징검다리 건너기’와 함께 그 생생한 의미를 드러냈다. 이에 더하여, 장기적으로 추적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다시 시간적 두께에 기반해 총체적으로 탐구한 결과, 이들의 진로발달 과정에서의 탄력성에 관한 경험은 ‘다채롭지 않게 일궈온 발자국’, ‘소망과 현실 간의 균형 잡기’, ‘절박한 미래를 앞세워 넘는 역경’이라는 연속적 흐름을 보인다는 점을 추가로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층 대학생들의 진로발달 증진을 돕기 위해 몇 가지 논의점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essential meaning of resilience experienced by low-income college students in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To achieve this goal, a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was carried out, selecting five low-income class college students who could make extensive responses to the research questions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meeting them for more than two to three yea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resilience in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like five parent components in total, including ‘Young dream of taking the first step, crouching’, ‘My circumstances which are a trap and motive power’, ‘College in which I learned the way of the world rather than career’, ‘Filling deficiency before dreaming’ and ‘Enduring to stand without anyone to lean on’ based on 15 sub-components. In addi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revealed its vivid meaning with the essential topic, ‘Crossing a stream on stepping-stones of dreams connected through abandonment and aspiration.’ Moreover,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ir experience tracked in the long-term was conducted again on the basis of temporal thicknes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continuous flow in their experience, such as ‘Footprints cultivated not variously’, ‘Balancing between hope and reality’ and ‘Adversity to get over, letting the desperate future precede.’ Last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everal points of discussion were presented to help promote low-income class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소년시설환경”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