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혈압 환자에서 위험도 층별화에 따른 진료 형태 및 혈압변화 분석 (Analysis of Treatment Patterns and Blood Pressure Changes According to Risk Stratification in Hypertensive Subject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1.03
10P 미리보기
고혈압 환자에서 위험도 층별화에 따른 진료 형태 및 혈압변화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내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내과학회지 / 80권 / 3호 / 298 ~ 307페이지
    · 저자명 : 김동기, 김동수, 양태현, 조영완, 서영경, 김용복, 김영대, 홍택종, 이상곤, 차태준, 김태익, 김병수, 김대경, 김두일

    초록

    목적: 실제 진료 현장에서 심혈관 위험도 층별화에 따른 고혈압 치료 형태를 분석하고 각 위험도군 별 혈압 조절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부산 및 울산의 7개 3차 병원에서 처음 고혈압을 진단받고 외래진료를 받은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기존에 고혈압 약제를 복용하고 있었던 환자는 최초 진료 당시 혈압이 조절되지 않아 기존 약제에서 치료내용이 변경된 경우 연구대상에 포함하였다. 2003년 개정된 세계 보건기구/국제 고혈압학회(World Health Organization/International Society of Hypertension, WHO/ISH) 기준에 따라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위험도를 층별화 하였다.
    결과: 총 643명이 분석 대상에 포함되었다. 전환효소 차단제 혹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가 가장 빈번하게 처방되고 있었다. 최초 처방시점과 치료 1년째에 더 높은 위험도 군일수록 처방 받는 항고혈압 약제의 수가 더 많았다. 치료 1년째 목표혈압 도달률은 고위험도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고위험군 68.2%, 중등도위험군 85.2%, 저위험군 89.0%, p < 0.001). 당뇨병이나 신장 질환이 있는 환자들에서는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목표혈압 도달률이 더 낮았고(50.7% vs. 81.6%, p < 0.001) 목표혈압에 도달하기까지 걸린 시간도 더 길었다(106.5 ± 79.2일 vs. 82.1 ± 75.3일, p = 0.001). 다형회귀분석에서 고혈압 치료목표 달성 실패의 가장 중요한 결정인자는 치료 전 160 mmHg 이상의 수축기 혈압(위험비 [OR]: 4.91, 95% 신뢰구간 [CI]: 2.27~10.65), 동반된 신장 질환(OR: 3.43, 95% CI: 1.60~7.32), 중등도 이상의 WHO/ISH 위험도 군(OR: 2.27, 95% CI: 1.23~4.20), 치료 전 100 mmHg 이상의 확장기 혈압(OR: 2.11, 95% CI: 1.11~4.04), 그리고 동반된 당뇨병(OR: 2.06, 95% CI: 1.29~3.25)이었다.
    결론: 치료 전 혈압이 높은 환자, 신장 질환이 있거나 WHO/ ISH 고위험군인 환자, 또는 당뇨병이 있는 환자의 혈압조절이 상대적으로 취약하였다. 실제 진료현장에서 이러한 환자들의 혈압조절을 위한 개별적으로 차별화 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Aim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real world treatment patterns of hypertension according to cardiovascular risk stratification and to evaluate blood pressure changes with anti-hypertensive treatment in each risk group.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ho were newly-diagnosed with hypertension or known hypertensive patients with uncontrolled blood pressure (BP) at seven tertiary hospitals in Busan and Ulsan. World Health Organization/International Society of Hypertension (WHO/ISH) cardiovascular risk stratification was performed through retrospective chart review.
    Result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 were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drugs. The higher WHO/ISH risk group received a greater number of drugs at the initial treatment, and one year after treatment. Target BP was achieved less frequently in the higher risk group (68.2% vs. 85.2% vs. 89.0%, p < 0.001). The rate of attaining target BP was lower (50.7% vs. 81.6%, p < 0.001), and the time to attaining target BP was longer (106.5 ± 79.2 days vs. 82.1 ± 75.3, p = 0.001), in patients with renal disease or diabetes. Initial systolic BP above 160 mmHg (OR: 4.91, 95% CI: 2.27~10.65), renal disease (3.42, 1.60~7.32), medium or high risk group status (2.27, 1.23~4.20), initial diastolic BP above 100 mmHg (2.11, 1.11~4.04), and diabetes (2.06, 1.29~3.25) were independent factors that predicted failure of attaining the target BP.
    Conclusions: BP control was relatively unsatisfactory in patients with higher initial BP, renal disease, higher WHO/ISH risk group status, and diabetes. Individualized approaches for such patients are needed to improve BP control in routine clinical practice. (Korean J Med 2011;80:298-30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내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