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의료지식 구축에 있어 노년층의 자율성 문제 (The Autonomy of the Elderly in Constructing Medical knowledge through Digital Medi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9.06
12P 미리보기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의료지식 구축에 있어 노년층의 자율성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의료윤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22권 / 2호 / 174 ~ 185페이지
    · 저자명 : 최은주

    초록

    본고는 인터넷을 비롯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입수되는 정보의 접근성, 편리성이 오히려 개인의 지식 수집에는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건강 지식’과 디지털 기기 사용이 가능한 ‘노년층’에 국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평균 수명의 연장에 따라 생애주기의 3기에 해당하는 노년기는 전(前)/후(後) 시기로 분화되어, 전 단계의 젊은 노인층은 국내의 한 신문 특집 기사에서 사용된 ‘신중년’이라는 호칭답게 소비시장의 새로운 경제적 주체로 거듭나고 있다. 인터넷, 스마트 기기의 조작에 있어서도 적극적이고 능숙할 정도로 웹사이트를 통한 건강 정보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동안 미디어를 통한 의료정보와노인 세대 연구는 각기 다른 분야에서 연구될 만큼 디지털 환경은 노인 세대와는 별개의 것으로 취급되었다. 따라서 건강 콘텐츠 전략이나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상의 상호작용성 연구가 미디어 분야의 주된 연구였다면, 노인의 약물 오용 및 약물 관리 등은 노인학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고령화로 인해 새로운 소비 주체로 부각되는 노년층에 대해 각각의 연구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할 시대적 담론 변화를 겪고 있다. 소비 주체로서의 자율성을 부여받았음에도 노년층은 여전히 약물 오용에 노출되기 쉬우며, 선행 연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령ㆍ교육ㆍ경제 수준 및 거주 지역에 따라 그정도가 상이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노인 전체를 일반화시켜 경제 주체이자 교육 주체, 그리고 문화 창조자라고 긍정적 평가를 내리는 것은 현실 반영이 고려되지 않은 사회적 기대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본고는 사회의 이런 기대수준과 상충된 노쇠, 사회 탈참여인구, 사회적 짐으로 묘사되어온 노년층의 역설적 상황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노인 세대 대상의 생명, 삶의 질과 직결된 의료리터러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가 의료 리터러시를 윤리적 차원에서 강조하는 만큼 추가되어야 할 실태 조사, 실증적 데이터 수집 및 교육 방법의 제시는 후속 연구로 남겨둔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medical knowledge” and “the elderly” that the autonomy of individuals who can freely us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digital media including the internet can interfere with knowledge collection.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ncreases, the “Newly Elderly”, differentiated from the old age corresponding to the third period of the life cycle, are being reborn as the new economic subjects of the consumer market. On the other hand, problems that may arise in using health information through websites are overlooked because they are proficient and active in the use of digital devices. The main prior research was about health content strategies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of digital media and interactivity in websites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However,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literacy for medical knowledge by focusing on the web use of the elderly who have been granted a right position as a new consumer. There are prior studies that elderly people are still easily exposed to drug abuse and their degree varies depending on age, educational and economic levels, and residenc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is sense, it is insufficient to generalize the whole of the elderly, and to remain positive as a consumer as an economic entity, a selector of lifelong education as a subject of education, and a content maker as a culture creator.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points out the biased viewpoint of the media in which the elderly population is polarized by aging and social burden,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medical literacy related to the life of the elderly. An empirical survey of data following the need for medical literacy and presentation of educational methods is left as a follow-up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의료윤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