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00~1910년대 지식층의 신경쇠약 개념에 대한 수용과 전유 (The acceptance and appropriation of the concept of nervous breakdown by the Intellectuals in the 1900-1910)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1.05
33P 미리보기
1900~1910년대 지식층의 신경쇠약 개념에 대한 수용과 전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53권 / 203 ~ 235페이지
    · 저자명 : 박성호

    초록

    신경쇠약은 문명병, 근대병 등으로 불리며 20세기 초 근대인들의 정신질환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문학을 비롯한 예술 분야에서는 결핵과 더불어 예술가의 독보적 정신을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으로 작용했다.
    한국에서의 신경쇠약은 이미 1900년대부터 대중매체 등을 통해 등장하기 시작했고, 당대의 정신질환 체계 내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약 광고에서부터 전문가의 기고문에 이르기까지 신경쇠약은 다양한 범주를 포괄했고, 당대의 위생 담론 내에서 예방과 치료의 대상으로 자주 거론되기에 이른다. 이는 신경을 하나의 기관으로 간주하고 이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쇠약증을 겪는 일을 피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신경쇠약 개념은 지식층에 의해 새로운 맥락을 획득하게 된다. 정신위생 담론을 거스르고 신경의 피로를 자발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신경쇠약에 걸렸다는 서사는 당대 지식층이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재일조선인유학생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일련의 신경쇠약 개념은 향후 조선 사회를 이끌어나갈 주체로서의 자신들을 규정하는 핵심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1900년대~1910년대 지식층들이 『소년』, 『청춘』, 『학지광』 등의 잡지 등을 통하여 신경쇠약의 개념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했는지를 확인하고, 어떤 과정을 통하여 신경쇠약이 치료를 요하는 질병으로부터 독보적인 감수성에 대한 자부심의 상징으로 전유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Nervous breakdown is called civilization and modern disease,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mental illness of modern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particular, in the fields of art including literature, it served as an important concept representing the artist's unrivaled spirit along with tuberculosis.
    The nervous breakdown in Korea began to appear through the mass media from the 1900s, and became an important part of the mental illness system of those days. Nervous breakdowns encompassed various categories, from drug advertisements to expert contributions, and are frequently discussed as objects of prevention and treatment within contemporary hygiene discourse. It regarded the nerves as an internal organ and focused on avoiding suffering weakness by overusing them.
    However, this concept of nervous breakdown acquires a new context by the intellectuals. The narrative that he suffered from nervous breakdown by opposing mental hygiene discourse and voluntarily choosing nerve fatigu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fining his identity for the intellectuals of the day.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nervous breakdowns formed around Korean students in Japan became the core of defining themselves as subjects who will lead the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In this article, it would be examined that the nature of the concept of nervous breakdown of the time, focusing on magazines such as Sonyen, Cheongchoon, Hakjigwang, etc. in the 1900s-1910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process before the above-described concept of nervous breakdown after the 1920s became centered on the artist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