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이를 이용한 점토 슬립적층기법 연구 (Layering technique by using clay slip on pap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8.12
17P 미리보기
종이를 이용한 점토 슬립적층기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자학연구 / 15권 / 3호 / 111 ~ 127페이지
    · 저자명 : 박종진

    초록

    인간이 자연에서 채취한 점토를 가공하여 쓰임이 있는 물건을 만든 행위가 도예라고 일컫는 활동의 시초라고 볼 수 있다. 공예분야에서 재료의 적절한 사용은 가장 중요한 화두이며, 재료의 새로운 속성을 발견하여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 역시 공예가의 숙명이라고 할수 있다.
    대학교육을 통해 도예에 입문하고 기술을 습득한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는 과거부터 전해져 온 한국적 감성과 기술적 역량을 조사하고 답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경험을 통해 수 천년동안 전해진 점토를 다루는 기술과 속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게 되었다. 반면에 2차 소성을 통해 완성되는 도자기 제작과정 중 그 어떤 과정도 거스르지 못한 채 법칙을 따라 제작해야 하는 부분에 한계를 느끼기도 하였다.
    ‘어떻게 점토를 이용하여 전에 보지 못한 새로운 시각적 아름다움을 선사할 수 있을까?’라는 이와 같이 기초적인 질문으로 출발한 본 연구자의 실험은 종이와 흙의 결합이라는 방식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종이더미가 쌓여진 모습에서 자연적 지층형상이라는 영감을 얻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종이 더미와 같은 형상을 그대로 복재하는 방법에 대하여 생각하게 되었고, 두 가지 관점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첫째로, 종이를 이용하여 종이와 같은 시각적 속성을 재현하는 것이다.
    기존의 페이퍼 클레이가 종이를 점토와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혼합한 방식이라면 연구자는 최종적으로 종이 낱장마다 흙물을 발라 적층하는 방식으로 종이를 활용하였다. 즉 종이를 매개체로 사용하되 페이퍼 클레이라는 개념의 점토를 사용하지 않았다.
    둘째로, 적층적 구조에 대한 연구다. 이와 같은 속성에서 중요한 것은 레이어가 쌓여 형성된 반복적 형상이었는데, 우연히 찾아온 시각적 영감이 가진 선행 연구와의 연관성, 본인의 주관적 심상과 연결되면서 작품에 적용되는 주요 구조로 사용되었다.
    현대도예영역에서 표현된 다양한 다층구조를 살펴보는 과정은 연구자의 시행착오를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개발된 종이를 이용한 슬립적층기법은재료와 구조로 인해 가능한 2차 소성 후 형태가공이 가능한 매우 이례적인 상태를 가지게되었으며 다양한 형태와 색감을 창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재료적 관점에서의 실험이었으며 동시에 친숙한 것들을 재구성하여 미감을 창출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보는 이로 하여금 재료가 가진 반전적 속성을 즐길 수 있도록하며 익숙한 것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이끌어 낼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Human beings first processed clay that they collected and turned it into something useful, which was the beginning of Ceramic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in the field of crafts is the proper use of materials. It is craftsmen's destiny to discover new attributes in materials and make proper use of them.
    The researcher, who was introduced to pottery and acquired its techniques through college education, conducted previous research in ways of examining and following the Korean sentiment and technical capabilities that had been passed down from the past. I was able to fully understand and apply the techniques and attributes of handling clay that had been transmitted for thousands of years through this experience, facing limitations with the part that should follow the codes without resisting any process of pottery making to be completed in second firing.
    I carried out a new experiment conceived by a basic question, "How can I use clay to create new visual aesthetics that has never seen before?" The experiment was based on a combination of paper and clay. Piles of paper became an inspiration for natural stratum forms, in which process the investigator came up with a method of copying such forms as piles of paper naturally.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from these two perspectives: First, it set out to reproduce visual attributes such as paper by using real paper.
    The old paper clay was to mix and combine paper and clay in a certain ratio. The researcher used paper in a way of applying slip to each piece of paper and piling them up.
    That is, paper was used as a medium, but the clay in the concept of paperclay was not used.
    Second, the study conducted research on a layering structure, in which attribute the repetitive forms of layers were important. An accidental visual inspiration was connected to the investigator's previous experimemt and subjective imagery and then used as a main structure to be applied to the work.
    The process of looking into various multi-layer structures expressed in modern pottery was very helpful for reducing my trial and error. The slip layering technique with paper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resulted in a very rare state capable of processing forms after second firing thanks to materials and structures, creating a variety of forms and color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s and underwent a process of reorganizing things that were familiar and creating aesthetics. It will hopefully help viewers enjoy twist attributes in materials and find new viewpoints in familiar th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