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0년대를 전후로 한 도시 중산층의 형성과 한국 소비사회의 발전 ― 도시 중산층의 소비 양상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Urban Middle Class around the 1980s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Consumer Societ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1.07
43P 미리보기
1980년대를 전후로 한 도시 중산층의 형성과 한국 소비사회의 발전 ― 도시 중산층의 소비 양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도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 27호 / 41 ~ 83페이지
    · 저자명 : 왕웅원

    초록

    이 논문은 대한민국 사회가 1980년대 이래 소비사회의 발전이라는 거시적인 흐름에 놓여있음을 주장하고, 그 근저에 중산층 귀속의식을 가지고 있는 다수 도시 중산층 인구가 동력으로 활동하고 있었음을 확인하고자 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를 거쳐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으로 이어지는 경제 성장 정책이 전국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정책의 결과를 토대로 유의미한 가정 경제의 향상이 나타났다. 경제적 성과의 수혜를 받은 도시 거주 근로자 집단이 내구재 중심의 소비 양태를 나타냈다. 하지만, 이들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제적 불안정성, 그리고 사회 차원의 소비 억제 기조로 인해 한계에 부딪혔다.
    1980년대에 들어 이들은 안정적인 경제적 축적과 거주 안정성을 기반으로 도시 중산층으로 변전하였다. 이 시기의 도시 중산층의 특징은 실제 소득 기준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중산층으로 평가하는 세력 비대화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이것은 광범위한 소득 증대로 인한 중산층 귀속의식의 확대로 인한 것이다.
    이 시기 도시 중산층들은 가처분 소득의 증대를 기반으로 이전보다 확대된 소비 양태를 보였다. 그 양태는 크게 상위 계층에 대한 모방과 비슷한 계층에 대한 차별화라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전자의 예시로는 백화점 소비의 확대와 패션 영역에서의 소비 진작이 있으며, 후자의 예시로는 비주류 소비품의 소비 확대와 부동산 영역에서의 주말농장 문화 확산과 같은 사례를 들 수 있다.
    1990년대에 도시 중산층 집단은 그 2세대인 ‘신세대’를 기반으로 양적, 질적으로 향상된 소비문화를 발전시켰다. 이 ‘신세대’들은 자아실현, 대외적 개방성, 새로운 매체에 대한 과감한 도전 등 다양한 특징을 바탕으로 서비스 영역 등 이전에 발달하지 않았던 새로운 소비 영역을 탐색하였다.
    1997년을 기점으로 한국 소비문화와 이를 견인했던 도시 중산층은 타격을 받았다. 도시 중산층들은 핵심 중산층과 주변적 중산층으로 계층 분화를 겪었으며, 전체적인 소비 규모 또한 저하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고통에도 불구하고 중산층 집단이 가지고 있는 중산층 의식과 소비 경험은 훼손되지 않았으며, 이후 경제위기가 해소된 뒤 다시 적극적 소비를 통하여 소비문화를 계속 발전시킬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rgued that Korean society has been in a macro trend of development of consumer society since the 1980s, and wanted to confirm that middle-class people in many cities with a sense of middle-class attribution have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it.
    Throughout the 1960s and 1970s, economic growth policies from light to heavy chemical industries were implemented nationwide, an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domestic economy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olicies. A group of urban resident workers who benefited from economic performance showed consumption patterns centered on durable goods. However, they faced limitations due to inflation-induced economic instability and social-level spending controls.
    By the 1980s, they had evolved into urban middle class based on stable economic accumulation and residential stability. The characteristic of the urban middle class during this period is that there has been a power hypertrophy in which more people rate themselves as middle class than the actual income standard. This is due to the widening sense of middle class attribution due to widespread income growth.
    During this period, urban middle-class people showed an expanded consumption pattern based on increased disposable income. The pattern has largely been shown in the direction of imitation of the higher classes and differentiation of similar classes. Examples of the former include the expansion of department store consumption and acceleration of consumption in the fashion sector, while examples of the latter include the expansion of consumption of non-mainstream consumption and the expansion of weekend farm culture in the real estate sector.
    In the 1990s, urban middle-class groups developed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ly improved consumption culture based on the second generation, the 'new generation'. These 'new generations' explored new areas of consumption that had not previously developed, such as service areas, based on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self-realization, external openness, and bold challenges to new media.
    As of 1997, the Korean consumer culture and the middle class, which drove it, were hit hard. The urban middle class suffered a class division between the core middle class and the surrounding middle class, and the overall size of consumption also declined. Despite the pain, however, the middle class awareness and consumption experience of middle class groups remained intact,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 was resolved, the consumption culture could continue to be developed through active consump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