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山寺 層石塔 舍利莊嚴具 硏究 (A Studies on Geumsansa Temple’s Five-Story Stone Sarira Reliquar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6.12
48P 미리보기
金山寺 層石塔 舍利莊嚴具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 / 8권 / 71 ~ 118페이지
    · 저자명 : 이분희

    초록

    금산사 오층석탑을 해체하여 수리할 때 탑안에서 <母嶽山金山寺五 層石塔重創記>와 각종의 사리구가 발견되었다. 발견된 중창기에는금산사 오층석탑의 조성시기와 중창불사 현황과 관련 인물 등을 소상하게 알려주는 내용이 실려 있다. 이는 단절된 조선 전기 금산사에대한 역사를 이어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뿐만아니라 동제사리합과 작은 합 2점, 청동오층탑과 엽전 7점, 그리고 불상 8구와 동자상 1구 등 일체의 금산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는 조선 초 사리장엄구의 구성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금산사 오층석탑 중창기에는 금산사 오층석탑의 해체과정, 사리장엄구의 발견, 그리고 탑 안에 다시 사리장엄구를 봉안하는 과정까지 묘사되어 있다. 뿐만아니라 덕원군을 대공덕주로 한 왕실의 지원에 힘입어, 이 지역의 지방관료, 그리고 스님들이 대거 참여하였음을알 수 있다.
    탑에 봉안된 사리장엄구는 탑의 조성시와 중창당시에 매납된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 시기별 특징을 담고 있다. 특히, 탑내 봉안된불상들은 1492년 탑을 중창할 당시 조성하여 스님들이 모셨던 원불로, 16세기 전후의 불교조각사 양식을 이해하는데 단서가 되는 불상들이다. 이렇게 불상을 탑에 봉안하는 것과 봉안한 불상에 불복장과사리를 넣는 사리장엄구의 독특한 특징은 매우 흥미롭다.
    금산사 탑에 불상을 봉안하였던 이유는 불상 신앙이 고조되면서, 개인의 소원을 비는 구복적 원불신앙의 유행에 기인한 듯 하다. 즉, 법당에 불상을 봉안하듯이 탑에 불상을 봉안하였던 당시 신앙경향을 살펴볼 수 있다.

    영어초록

    In dismantling and repairing Geumsansa Temple’s Five-story Stone Pagoda, discovered from within the pagoda were sarira receptacles and Moaksan geumsansa ocheungseoktap jungchanggi (Construction Records on Moaksan Geumsansa Temple’s Five-story Stone Pagoda).
    The records give a detailed description of Geumsansa Temple’s Five- story Stone Pagoda construction time, reconstruction situation, and related personnel, making them an important material in learning about the history of Geumsansa Temple in the first half period of the Joseon.
    Likewise, items contained in the Five-story Stone Pagoda Sarira Reliquaries -- such as a copper sarira bowl and two small bowls, a Five-story Bronze Pagoda and seven coins, eight Buddha images, and one cherub figure --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in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rly-time Joseon Sarira Reliquaries 1976 in the history of arts. The reconstruction records describe the process of demolishing the pagoda, the discovery of Sarira Reliquaries, and the process of enshrining Sarira Reliquaries in the pagoda. It was also revealed that, with the support of the royal household with Prince Deogwongun as the biggest sponsor, a large number of the region’s local officials and monks participated in Buddhist affairs. The local governor, too, encouraged the Hyangdo community to allow many worshippers to participate in Buddhist affairs.
    The Sarira Reliquaries enshrined inside the pagoda were provided during the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pagoda and are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 times. In particular, Buddhas enshrined inside the pagoda were created in 1492 when the pagoda was constructed and were served by monks. They are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Buddhist sculpture styles around the 16th century. It is very interesting to enshrine Buddhas inside the pagoda and to install Sarira Reliquaries containing statues inside which sariras are put, without using other apparatuses.
    Buddhas were enshrined in the Geumsansa Temple Pagoda presum- ably because, with devotion to the Buddha image being heightened, individuals’ faith of seeking blessings was popular. In other words, as Buddha images were enshrined in worship halls, they were also enshrined in pagodas, a new faith trend at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