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전기와 조선초기 국상 시 황제국 측의 조문 외교 의례의 비교 탐색 (The Comparison of Diplomatic Rites for condolences by the Chinese Imperial State after the death of the King between the early Koryŏ and early Chosŏn period)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3.02
36P 미리보기
고려전기와 조선초기 국상 시 황제국 측의 조문 외교 의례의 비교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8호 / 177 ~ 212페이지
    · 저자명 : 최종석

    초록

    필자는 그간 賓禮나 嘉禮에 수록된 외교의례가 원 복속기를 분기점으로 하여 전면적으로 전환된 사실과 그 역사적 의미를 규명해 왔는데, 본 작업은 이것의 연장선에서 凶禮에 수록된 외교의례 면에서도 큰 폭의 전환이 있었음을 규명하고자 한 시도이다. 國喪 시 외교의례는 책봉국에 행하는 (외교)의례와 이것에 응해서 황제국 측에서 행하는 弔問 (외교)의례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고는 이 가운데 국왕의 사망 후 황제국이 행하는 조문 (외교)의례에 초점을 맞춰 고려전기와 조선 초기를 비교 검토한 연구 결과물이다. 곧 국왕 사후 황제국 측이 조문 차원에서 행하는 외교의례 면에서도 고려전기와 조선 초기 간에 질적이고 단절적인 차이가 가로놓였음을 규명하고, 이러한 시대적 차이가 말해주는 역사적 함의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려전기에는 자체적으로 마련한 예식 절차(의주)에 따라 황제국 측이 행하는 弔問 (외교)의례를 치른 것과 달리, 조선(초기)에서는 명 황제가 조선에 사신을 파견해서 국왕의 사망에 조문하는 의례들인 賜祭 의례, 賜賻 의례, 賜諡 의례를 전례 없이 명 측이 작성하여 조선에 보내준 해당 의주를 토대로 거행한 사실을 부각하고 그 의미를 규명하였다. 특히 명 측의 행보가 조선에 국한된 것으로 사실상 조선 측의 請諡와 告訃에 의해 유발되어 수동적으로 행한 일이었을 사실을 주목하였다.
    다음으로는 고려전기에는 起復 의례가 거행되었지만 조선(초기)에는 그렇지 않은 양 시기의 차이를 부각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특히 각 시기 국내에서 행해진 ‘嗣位’가 갖는 대외적 위상의 차이가 기복 의례 시행 여부와 어떤 식으로 연관되는지를 주목하였다. 기복사의 파견 유무 외에 또 다른 이질적인 점은 조선에서는 賜諡 의례가 거행되었으나 고려전기에는 그러지 않은 사실인데, 이러한 차이와 그 맥락을 파악해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각 시기 황제가 사망한 국왕을 위해 (사신을 보내) 제사를 행하는 의례라 할 수 있는, 고려전기 祭奠(勅祭) 의례와 조선의 賜祭 의례 간의 여러 이질적 양상을 검토했다. 특히 고려전기 祭奠禮는 상하 차등적 군신 관계를 반영하면서도 군주 대 군주로서의 관계를 전제로 하여 사망한 외국 군주를 추모하는 성격의 의례인 데 비해, 조선의 賜祭儀禮는 군주가 신하를 대상으로 諭示하며 은전을 베푸는 諭祭를 명 황제가 사신을 보내 조선국왕에게 내리는 의례였음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양상의 차이가 시사하는 역사적 함의도 탐색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n terms of diplomatic rituals performed by the Chinese Imperial State at the level of condolences after the death of the king, it was clarified that there was a large epochal gap between the early Koryŏ and early Chosŏn period. And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is epochal difference were explored.
    Specifically, by means of the ceremonial procedure prepared by Koryŏ in the early Koryŏ Dynasty, the Chinese Imperial state performed the diplomatic rites for condolences. In the early Chosŏn Dynasty, the Ming emperor dispatched envoys to Chosŏn to condolence upon the death of the king, and the envoys executed Saje (賜祭), Sabu (賜賻) and Sasi (賜諡) ritual, which were conducted based on the ceremonial procedures unprecedentedly prepared by the Ming side and sent to Chosŏn. And I tried that this fact was highlighted and its meaning was clarified. In particular, it was noted that the action of the Ming side was confined to Chosŏn, and in fact, they were passively acted upon by the Chosŏn side’s Choengsi (請諡) and Kobu (告訃) ritual.
    Next, while Kibok (起復) ritual was held in the early Koryŏ period, it was not like that in early Chosŏn perio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iods was highlighted and the meaning was explored. In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how the difference in the external status of the 'enthronement' held in Korea during each period was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Kibok (起復) ritual was performed. Another disparate point is the fact that Sasi (賜諡) ritual was held in Chosŏn but not in the early Koryŏ period, and this difference and its context were investigated.
    Lastly, various heterogeneous aspects between Jejŏn (祭奠) ritual in the early Koryŏ period and Saje (賜祭) ritual in Chosŏn were reviewed. In particular, Jejŏn (祭奠) ritual in the early Koryŏ period was ceremonies that reflected the differential relationship between superiors and subordinates and at the same time commemorated deceased foreign monarchs by the Chinese emperor on the premise of a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monarch. In contrast, it was found out that Saje (賜祭) ritual in the early Chosŏn period was a ceremony in which the Ming emperor sent an envoy to give praise and instructions to the Chosŏn king. In addition,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difference in aspects were also explo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