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승정원일기』영정조대 30년간(1770~1779) 측우기록과 우량주척 고찰 (A Study of Historical Meteorological Daily Logs and Records in the Annals of King Injo and Hyojong)

7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8.03
75P 미리보기
『승정원일기』영정조대 30년간(1770~1779) 측우기록과 우량주척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4호 / 111 ~ 185페이지
    · 저자명 : 김일권

    초록

    조선의 측우기는 세계사적 발명품이자 한국의 역사기상학에 분기점을 이룬 사건이다. 이논문은 그러한 가치의 세종조 임술년 측우기(1442)의 창제와 조선 후기 영조 경인년 측우기(1770) 재건 과정을 검토하면서, 그 측우기의 제원과 크기를 통해 당시 사용된 우량 주척의문제를 먼저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가장 앞선 연구로 중요한 와다유지(1917)의 우량기록연구결과를 우일수, 우량표, 경정우량표 문제 중심으로 재검토하였고, 그 결과 이 우량연구가 『승정원일기』의 본문 측우기록과 일치하지 않은 점이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조선후기 경인측우기로 시작된 『승정원일기』의 측우기록은 영조 46년(1770) 6.6일(음5.13)부터 한말 순종 원년(1907) 11.23일(음10.18)까지 장장 138년간 연속된 매년월일 기록이란 역사기상학적 가치가 높은데, 『승정원일기』는 본면기상부의 측우기록항에서 그 측우기록을 수록하여 전하였다. 표제기상부는 첫줄에 사관이 판단한 그날의 개략적 기상상태기록이고 주로 ‘청음우설풍(晴陰雨雪風)’의 5대 기상현상 중심으로 표기하여 자료특성이 다르다. 본고는 『승정원일기』의 측우기록을 전면 분석하는 일환으로 측우기 기록이 처음 시작된영조 46년(1770)부터 정조 23년(1799)까지 18세기 후반 30년간(1770~1799) 단위를 대상으로 삼아, 연간 우량과 월별 우량 및 필요시 일별 우량 상황을 상세히 고찰하였고, 그 과정에서 여러가지 측우기록 분석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연간 우일수 검토결과, 1770년대는 346일간, 80년대는 494일간, 90년대는 539일간으로점점 더 비내린 날이 증가하였으며, 우량치 분석으로도 1770년대는 6,622㎜, 80년대는10,764㎜, 90년대는 11,138㎜로 점점 증가하였고, 30년간 연평균 우량값은 950.8㎜로 계산되었다. 최다 우일년과 최다 우량년을 검토하여 수해가 의심되는 해로 정조 8년(1784), 정조 11년(1787), 정조 15년(1791), 정조 16년(1792)가 추산되었고, 이에 대해서는 여름철 우기인 7월과 8월의 강우 상황을 자세히 살폈다.
    이들 측우기록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기상관측 시간대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정조중반까지는 하루 기상의 구분 시점을 새벽 05시경 매상(昧爽)에 두고서, 주간은 ‘매상 05시~ 유시 19시’(14시간) 구간으로, 야간은 ‘초혼 19시~오경 05시’(10시간)로 비균등 구분하여 측우 기록하였다. 이 체계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정조 15년(1791)부터는 1일 3차 8시간 균등시간제로 개정하였고, 현대시각으로 새벽 04시경의 개동(開東) 시각을 하루 시작점으로 삼고서, 낮12시의 오초(午初)와 밤20시경의 인정(人定)을 각기 기준시각으로 적용하였음을 분석하였다. 이 개정규정이 『서운관지』 권1 「번규편」 <측우기조>에 수록되었다.
    끝으로 영정조 30년간 중 월별 비가 많은 다우월 빈도와 추이를 조사하여, 고우량월(100 ㎜이상)은 여름형 강우특성이고, 중우량월(50~10㎜)은 봄가을형, 저우량월(10㎜이하)은 겨울형 특성임을 분석하였다. 『승정원일기』에 수록된 측우 기록 방식이 누적방식과 분할방식으로다르며, 이를 통해 시간당 강우속도 추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추후 『승정원일기』 138년간 강우기록에 대해 전면적 분석과 다각적 복원을 통해 조선후기 뿐만 아니라 한반도 기상기후변동 해석에 참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eteorological phenomena during the Choson Dynasty, especially during King Injo and King Hyojong(1623~1659) from the records of 『The Annals of Seung-jeong-won』(Seongjeongwon Ilgi).
    『The Annals of Seung-jeong-won』 is an important source in terms of historical meteorology in Korea in that this annals recorded everyday weather information during Choson Dynasty. In these annals, weather information was recorded in two kinds of forms; title form and expository form, the former is representative weather of that day, such as clear, cloudy, or rainy and snowy, while the latter gives additional and concrete weather information, like fog, thunder, hail and frost, and even lunar and solar halo, which were considered important phenomena in the past, and also natural disaster.
    These records allow analysis of following factors in this paper. First, the rates of clear day. Second, droughts and floods, and the following damage caused by these natural disasters. Third, yearly and seasonal tendency of lunar and solar halo. Fourth, the first frost date changes.
    Especially, research on the first frost date yielded significant results. During 1623~1659, the first frost date was between September 19th and October 21st, and the average date of the first frost was around October 3rd. It shows difference with the average date during 1864~1906, which was around October 13th according to the former research. This result shows climate changes of that time.
    As a conclusion, this research not only shows the value of the 『The Annals of Seung-jeong-won』 as a meteorological text, but also shows the various aspects of the weather during the Choseon Dynasty, and therefore will contribute to the foundations of historical meteorology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