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츠 아트에 나타난 저항과 풍자의 시선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을 중심으로- (The Perspective of Resistance and Parody that has Appeared in Sots Art -focused on Bakhtin’s theory of carnival-)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8.06
12P 미리보기
소츠 아트에 나타난 저항과 풍자의 시선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9권 / 3호 / 319 ~ 330페이지
    · 저자명 : 이채리, 김영호

    초록

    20세기 러시아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소비에트 연방이 주도하는 관제 미술의 형태를 띠었다. 일원화된 당의 이념을 위해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미술사적 역행의 방식으로 고전주의 미술을 채택하였으며, 특히 레닌과 스탈린의 우상화 작업의 일환으로 이용되었다, 스탈린주의의 강력한 지배력 아래에서 형성된 고정관념은 스탈린의 죽음 이후에도 소비에트 사회의 큰 영향을 미쳤다. 196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대중매체의 확산과 발달에도 불구하고 예술에 대한 국가의 통제는 여전히 강했다. 이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소츠 아트는 70년대 중반에 본격적으로 대중에게 알려지게 된다. 소츠 아트 작가들의 사회 저항적 태도는 공식문화와 비공식문화를 전복시키는방향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때 대표적인 재현 담론으로 채택한 것이 카니발 미학이다. 이 미학은 풍자와 웃음을통해서 그동안 금기시되었던 개인주의의 발현과 사회비판을 가능하게 하였고, 미술사적 발전도 이룰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가 있다. 소츠 아트 작가들은 카니발 세계에 등장하는 카니발적 웃음을 내세우며 기존의 체제가 내세웠던 우상들을 파괴한다. 하지만 바흐친의 이론에서도 보이듯이 카니발적 파괴는 단순한 차원의 죽음이 아니라, 세계를 고차원적으로 긍정하는 방식이자 또 다른 탄생을 지향하는 출발점이다. 대부분 유대인이었던 이들은 소비에트 사회 내에서 타자적 위치에 있었던 터라 체제와 사회에 대한 객관적 시선을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었다. 레닌 이후의 체제를 지탱하던 스탈린주의와 서구문물의 유입을 통한 자본주의라는 이중적인 가치관의 혼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던 당시의 시대상은 소츠 아트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소츠 아트는 카니발적 요소를 활용하여 소비에트 체제 내에서 진행되었던 타자화와 상실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증언하고, 스탈린주의의 기호성을 해체하면서 러시아 포스트모더니즘의 초석을 다지게 된다.

    영어초록

    The 20th century Russian Socialist Realism took on the form of government sanctioned art ledby the Soviet Union. For the unified ideology of the party, Social Realism selected classicist artthrough the method of art historical exertion, especially being used as part of the idealization ofLenin and Stalin, and the stereotypes formed under the strong rule of Stalinism exerted largeinfluence on Soviet society even after Stalin’s death. Entering in the mid-1960s, despite thespread and development of mass media, the nation’s regulation on art still remained strong.
    Appearing in opposition to such, Sots Art came to be known to the public in the mid-1970s. Thesocially resistive attitude of the Sots artists progressed in the direction of toppling the officialand unofficial arts, and the representative discourse chosen at the time was the Carnivalesque.
    Through parody and laughter, this aesthetic allowed for social criticism and the emergence ofindividualism which have been banned for a while, and has had particular meaning in havingprovided a foundation for art historical progress. Sots artists put on the forefront the carnival ofsmile that appears in the world of the carnival, destroying the idols of the previous existingpolitical system. However, as seen in Bakhtin’s Theory, the carnivalesque destruction is not asimple death, but is a high-dimensional way of affirming the world, while being a starting pointin seeking another new birth. Being majority Jewish, having been in the position of ‘the other’ inSoviet society, they were naturally able to maintain an objective perspective on the politicalsystem and society. The zeitgeist of the time, in which there was a mixture in the dualistic valuesystems of the Stalinism that was supporting the political system post-Lenin and the Capitalismthrough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appear in full in Sots Art. Sots Art utilizes Carnivalesqueelements to testify in detail the process of becoming ‘the other’ and loss, and lays thecornerstone of Russian Postmodernism by dismantling the preferences of Stali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