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론장 실천을 위한 크지슈토프 보디츠코의‘문화적 보철물’시리즈 연구 (A Study on‘Cultural Prosthetics’Series of Krzysztof Wodiczko, for Practical Actions in the Public Spher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2.02
12P 미리보기
공론장 실천을 위한 크지슈토프 보디츠코의‘문화적 보철물’시리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3권 / 1호 / 523 ~ 534페이지
    · 저자명 : 주세균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크지슈토프 보디츠코의 <문화적 보철물> 시리즈를 통해 공공미술이 만들어내는 공론장의 성격을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보디츠코의 <문화적 보철물> 시리즈의 작업과정에 도입되는, ‘작가-사용자’, 그리고 ‘사용자-지역 사회’의 의사소통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는 것이다. 해당작업이 전개될 당시, 공공미술은 ‘장소성’에서 ‘공동체’의 논의로 진행되었다. 공공미술은 지역 정체성을 회복하고 유대감을 고취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기존의 불균형한 사회 구조를 고착시키고 은폐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문화적 보철물> 시리즈는 공공미술이 봉착할 수 있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준다. 그의 작업은 계속해서 공동체의고정된 정체성을 의심하며, 합일을 위해 차이를 봉합하려는 구조에 틈을 만든다. 수레 프로젝트와 폴리스카는 노숙인들의 물리적 거주공간과 사회와의 소통창구를 만들어 주고, 외국인 지팡이와 대변인마우스피스는 상대방과의 물리적 거리를 가깝게 함으로써 수평적 대화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그리고아이기스와 참전군인을 위한 헬멧은 사용자의 심리적 상처를 치유함으로써, 공동체의 역할에 대해 묻는다. <문화적 보철물> 시리즈는 외부로 밀려난 소수자들의 눈과 귀, 입의 기능을 물리적으로 증폭시키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위치시키고자 한다. 보디츠코의 작업이 만들어가는 공론장은 만남, 대화, 설득 과정을 거치며 확장된다. 작가를 통해 편집된 음성과 영상은 의도적으로 때로는 우연적으로 합법과 불법 사이를 오가며 사회에 변화를 위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리고 이 과정은 작업의 완결과는 무관하게 지속된다. 연구자는 열린 구조를 지향하는 그의 작업을 통해 새로운 공공미술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here created by public art through the <Cultural Prosthetics> series of Krzystof Wodiczko. The analysis has been focused on the ‘artist-user’ and ‘user-local community’ introduced in the <Cultural Prosthetics> series of Wodiczko. When this work has been opened, the public art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discussion from ‘site’ to ‘community’. Public art is also positively evaluated in that it plays a role in restoring local identity and inspiring bonds.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can be a tool to solidify and conceal the existing unbalanced social structure. The <Cultural Prosthetics> series provides an alternative for such a problem by which the public art can face. His works doubt the fixed identity of the community constantly and create the structure in which differences are attempted to be sealed for unification. The ‘Homeless Vehicle Project’ and Poliscar create the physical residing space and the communication channel to the society for the homeless. Further, the ‘Alien Staff’ and ‘The Mouthpiece’ reduce the physical distance from the opponent in order to open the possibility for horizontal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Egis’ and ‘Veteran’s Helmet’ ask the role of community through healing the psychological wound of the user. The <Cultural Prosthetics> series attempts to amplify the functions of eyes, ear and mouth of the minorities, those who have been expelled to the outside, physically in order to return them as members of the society. The public sphere created by the works of Wodiczko is expanded passing through the processes of meeting, conversation and persuasion. The voices and videos edited by the artist deliver a message for social change, crossing between legality and illegality, purposely or coincidentally, sometimes. In addition, such processes last irrespective of the completion of the work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ttempts to check a new possibility the public art through his work which seeks an open stru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