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샤프츠베리 백작과 18세기 영국 담소화의 등장 (The Third Earl of Shaftesbury and the Emergence of British Conversation Piece in the Eighteenth Centur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4.11
26P 미리보기
샤프츠베리 백작과 18세기 영국 담소화의 등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14호 / 82 ~ 107페이지
    · 저자명 : 전동호

    초록

    제3대 샤프츠베리 백작(Earl of Shaftesbury)인 안토니 쿠퍼(Anthony AshleyCooper, 1671-1713)는 서양사상사에서 상당히 중요한 인물이다. 명문귀족가문 출신으로 1711년 『인간, 예의범절, 의견, 시대의 특징(Characteristics of Men,Manners, Opinions, Times)』이라는 책을 출간한 샤프츠베리는 이후 서양철학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인물로 평가받아 왔다. 본고는 독특한 사상가인 동시에 전형적인 영국 귀족의 표상이었던 제3대 샤프츠베리 백작에 대한 필자의 개인적인관심에서 출발하였다. 본고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이다. 우선 문화사적 해석을 추구하는 근래 영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참고하여, 샤프츠베리와 그의 사상을 단순히 철학사속에 등장하는 추상적 대상이 아니라 정치적 소용돌이를 목격하며 그 속에서 당대 영국을 귀족적 진보주의에 맞추어 개조하고 새로운 사회질서를 제시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파악하고, 이를 위해 샤프츠베리가 제시했던 핵심 논제로 ‘고상함(politeness)’의 담론을 소개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고상함이 현실 사회생활에서 발현되는 매개체인 동시에 고상함을 성취할 수 있는 사회적 실천행위의 근간은 담소(conversation)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18세기 초반 담소가 갖는 사회적 의미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샤프츠베리 형제의 초상화 분석을 통해 18세기 초반 영국에서 담소화(conversationpiece)라는 미술 장르의 출현을 조명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필자는 담소화란단순한 미술 장르가 아니라 샤프츠베리가 촉발한 담론 및 이의 현실적 구현인 고상한 담소라는 사회적 현상 및 이데올로기가 시각적으로 발현된 결과일 가능성을조심스럽게 제시하고, 샤프츠베리가 주문한 형제초상화는 주문자가 그림속으로깊이 들어가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설계한, 즉 스스로의 운명을 스스로가 결정하는 진정한 시민 인문주의의 화신인 동시에 평등한 인격체 상호간의 고상한 담소라는 휘그적(Whiggish) 이데올로기가 회화라는 매체를 통해 성공적으로 시각화된 진정한 담소화의 효시라는 주장을 펼친다.

    영어초록

    Anthony Ashley Cooper (1671-1713), third Earl of Shaftesbury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significant thinker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His contributions, in particular, to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theory have often been hailed as founding the discipline of modern aesthetics: he is credited to have originated the notion of ‘disinterestedness,’ the backbone of aesthetic experience. Studies of him, however, have been narrowly focused on his somehow vexed contributions to individual disciplines such as ethics, religion, and aesthetics. Drawing on recent revisionist perspectives in British eighteenth-century historiography, especially, the discourse of ‘politeness,’ this article seeks to argue for the importance of Shaftesbury and his ideas in the formation of aristocratic taste and the emergence of the genre of ‘conversation piece’ in eighteenth-century Britain. Via a series of pamphlets assembled in his magnum opus Characteristicks of Men, Manners, Opinions, Times, published in 1711, Shaftesbury refined the notion of politeness, a civil discourse for the betterment of virtually every human conduct. In the course of his arguments, he laid much emphasis on the cultivation of polite conversation since he considered it the foundation of politeness itself. Trying to incorporate ethics and aesthetics into the formation of the gentleman, Shaftesbury intended to revamp the cultural politics of contemporary English society in the mould of his Whiggish ideologies. Deep inside, his conception of politeness was essentially patrician and he never imagined anybody but the landed aristocracy entering the society of the truly polite. In this regard, he was a genuine heir to the British version of civic humanism whereby public virtue was only to be entrusted in the hands of independent propertied people. Visual artswere conferred a role to play in his vision of aristocratic polite society, not on account of their capacity to move people in their own but on accountof their usefulness to cultivate public taste. Analyzing the double portrait of Shaftesbury and his brother, Maurice, this paper concludes to suggest that the portrait is both an unassailable personification of civic humanist ideal of polite conversation and a signifier of doomed aristocratic hegem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