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르나르 츄미의 프로그램 다이어그램을 통한 공간 형태 생성 연구 -영화 대본 연작을 중심으로- (A Study of creating spatial configuration through Program Diagrams by Bernard Tschumi -Focusing on the screenplay serie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2.06
10P 미리보기
베르나르 츄미의 프로그램 다이어그램을 통한 공간 형태 생성 연구 -영화 대본 연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7권 / 4호 / 63 ~ 72페이지
    · 저자명 : 박정아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근대 이후 공간의 형태 생성 의미를 표현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있어 왔다. 건축가 베르나르 츄미(Bernard Tschumi)는 70년대 말과 80년대 초반 영화의 기법들을 건축과 결부시키는 작업에 상당한 관심을 기울였다. 본 연구는 영화 대본 연작의 선험적 시도인 프로그램 다이어그램 기법이 공간의 형태 생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그의 초기 작품을 통해 알아본다. 이를 통해 영화의 기법들을 공간과 결부시키는 작업이 공간 디자인 형태 생성에 있어서 아이디에이션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97년 발간한 「Architecture in/of motion」의 여섯 개의 작업들을 영화 대본 원작으로 정리하여 발표한 작품집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살펴보고, 이론적 고찰의 배경으로 삼는다. 둘째, 이를 통해 공간 형태 생성을 위한 영화 대본 연작의 공간적 관계성을 검토하고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해 개념 언어를 도출하여 분석의 틀로 구축한다. 셋째, 분석의 틀을 토대로 공간 형태 생성 요소의 주요 특징들을 영화 기법과 함께 살펴본다. 넷째, 프로그램 다이어그램 기법에 의해 실제 구현된 사례를 통해 어떠한 의미로 그의 설계 프로세스가 계획되었는지를 분석하면서 연구를 마무리한다. (결과) 영화 대본 원작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 다이어그램 구조는 이벤트(event), 공간(spatial), 운동(movement)으로 대표된다. 첫째, 영화 기법 중 플래시백, 교차편집, 점진노출은 공간 형태 생성에 있어 이벤트적 효과, 전통적인 프로그램의 해체, 관객에 의한 형태의 완성 등에 있어 공간 형태 생성에 극적 수용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둘째, 영화적 산책로의 시퀀스적 공간 형태 생성으로 라 빌레트 공원에서 나타난 그리드 체계는 공간 언어와 프로그램, 공간과 형태, 이벤트와의 관계를 시공간적인 변위를 체험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셋째, 사이공간으로서 공간 형태 생성은 프로그램을 혼합, 재배열하여 병치와 중첩의 방식을 통해 재조직된다. 넷째, 움직임으로의 공간 형태 생성은 동적인 이미지를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지각적 활성화를 반영한 역동적인 형태 생성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공간 형태 생성 시 프로그램 다이어그램이 중요한 설계 프로세스 요소임을 살펴보고 그 중 영화 대본 연작을 통한 작업이 공간 형태 생성에 있어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는 각 분야의 예술이 본질에 기인하는 교류를 통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modern times, there have been various efforts to express the meaning of the generation of space. Architect Bernard Tschumi paid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work of linking film techniques to architecture in the late ’70s and early ’80s. This study examines program diagram techniques through his early works —an a priori attempt at a series of movie scripts—have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forms in sp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combining film techniques with space can be used in the creation of spatial design forms. (Method) The method of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six works of Tschumi’s Architecture in/of Motion, published in 1997, are summarized as an original film script and published as the main research subject, and are used as the background for theoretical consideration. Second, the spatial relationship of the series of movie scripts for the creation of spatial forms is reviewed, and conceptual language is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and constructed as a framework for analysis. Third,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shape-generating element are examined together with the film technique. We conclude the study by analyzing the meaning of his design process through the examples implemented by the program diagram technique. (Results) The program diagram structure based on the original movie script is represented by events, spaces, and movements. First, among the film techniques, flashback, cross-editing, and gradual exposure are important factors for dramatic acceptance of spatial shape creation in terms of eventual effects in spatial shape creation, the dismantling of traditional programs, and the completion of forms by audiences. Second, the grid system that emerged in La Villette Park due to the generation of sequential spatial forms of cinematic trails acts as a factor in experiencing spatiotemporal displac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language and programs, spaces and shapes, and events. Third, the creation of a spatial shape as an interspace is reorganized through a method of juxtaposition and overlapping by mixing and rearranging programs. Fourth, the creation of a spatial shape by movement can confirm the creation of a dynamic shape reflecting perceptual activation by reflecting a dynamic image in the program. (Conclusions) In this study, program diagrams are an important design process element in spatial shape creation, and among them, work through movie script series can lead to various applications in spatial shape creation. This is expected to continue research through exchanges based on the essence of art in each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