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해 주거건축지의 구조를 통해 본 위계와 사용주체 -취난시설이 확인된 유구를 중심으로- (Social hierarchy and Users seen through Balhae residential construction’s structure -Focusing on the remains that the heating system is idenfied-)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4.07
35P 미리보기
발해 주거건축지의 구조를 통해 본 위계와 사용주체 -취난시설이 확인된 유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79권 / 159 ~ 193페이지
    · 저자명 : 이정훈

    초록

    주거건축이란 숙식과 생활이 이루어지던 공간으로서 사회문화의 전반적인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이번 연구에서는 발해 주거건축의 위계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발해 유구 중 숙식의 증거인취난시설이 존재하는 주거건축으로서 중국 동북부, 러시아 연해주, 한반도 북부의 35개 발해 유적 중 118기의유구가 연구대상에 포함된다. 연구는 고고학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유구의 건축적 특징 중 그 형태가 다양한생활면 위치, 취난시설, 기초시설을 중심으로 위계에 따른 양상을 살펴보았다.
    발해 주거건축은 크게 왕궁, 관청, 사찰, 고분군 부속건물, 가옥의 종류로 구분지어 볼 수 있으며, 그 종류와출토유물, 규모에 따라 1~9등급까지의 위계 등급으로 세분할 수 있다. 위계가 높을수록 주거건축의 생활면 위치는 기단식 - 무기단식 - 반지하식, 취난시설은 쪽구들 - 화덕ㆍ쪽구들+화덕, 기초시설은 초석기초 - 줄기초 - 굴립주기초ㆍ무기초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발해 주거건축의 이러한 특징들은 건국 세력인 고구려, 말갈과도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문헌사료 및 고고자료에서 고구려 주거건축은 ‘기단ㆍ무기단ㆍ반지하식 + 쪽구들 + 초석ㆍ굴립주ㆍ줄ㆍ무기초’, 말갈 주거건축은‘반지하식 + 화덕 + 초석ㆍ굴립주ㆍ무기초’의 형태를 보인다. 이 중, 고구려 주거건축과 비슷한 유구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계에서 주로 확인된다. 이는 『구당서』, 『속일본기』와 같은 고문헌의 기록처럼 발해 왕실의 대(大) 씨가고구려 출신이며, 대외적으로 고구려 계승을 표방한 점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낮은 위계에선말갈과 고구려식 주거건축의 특징이 모두 확인되며, 이 중 가옥은 두 특징들이 비슷한 비율로 확인된다. 이는 『유취국사』의 기록 중 백성 중 말갈이 많다는 내용과 상반되며, 발해는 한 종족만이 아닌 말갈과 고구려 유민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였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Residential construction is a space where people live and work, so it reflects social culture of the past. Thus this study is going to analyze the residential construction of Balhae in accordance with hierarchy. The subject of the study is Balhae’s residential constructions which have heating facilities. Therefore, 118 Balhae’s residential construction located in northeastern province of China, Maritime province of Russia, and the northern province of Korean Peninsula are included in the study. The study focuses on the position of living surface, the heating facilitya and the foundation system that they are shown in diverse patterns depending on the hierarchy.
    Balhae’s residential construction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five types: Palace, Government office, Temple, Tomb, and House, and it can be classified into 9 types again by its size and the type of excavated artifacts.
    The higher social hierarchy grade is, the higher the characteristic of residential architecture are shown in the order of Base type - Non-base type - Semi-basement type, JJokgudul – HearthsㆍJJokgudul+Hearths, Post stone foundation – Strip foundation – Pillar hole foundationㆍNon-foundation.
    This tendency is related with Goguryeo and Malgal which found Balhae. In historical documents and archaeological datas, Goguryeo’s residential constructions are in the form of “BaseㆍNon-baseㆍSemi-basement type + JJokgudul + Post stoneㆍStripㆍPillar holeㆍNon-foundation”, and Malgal’s residential constructions are in the form of “Semi-basement type + Hearths + Post stoneㆍPillar holeㆍNon-foundation”. These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in the residential construction of Balhae. In relatively high hierarchy constructions, Goguryeo’s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in a high proportion. This tendency is related with historic documentary records, like 『Old Book of Tang』, 『Zoku Nihon ki』 that Balhae’s royal family came from Goguryeo and they advocated for the succession of Goguryeo. In the other hand, Malgal and Goguryeo’s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together in relatively low hierarchy construction. And they are shown with a same proportion in House. This tendency is contrary with the data of 『Ruiju Kokushi』 that there were many Malgal among ordinary people in Balhae. Moreover, it shows that Balhae was a multiethnic nation centered on Malga and Goguryeo refuge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