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칸트의 초월론적 취미론 – 취미의 반성적 성격을 중심으로 (Kant’s transcendental thoery of taste – focused on the reflective character of tast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1.12
36P 미리보기
칸트의 초월론적 취미론 – 취미의 반성적 성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 수록지 정보 : 美學(미학) / 87권 / 4호 / 1 ~ 36페이지
    · 저자명 : 박정훈

    초록

    본고는 칸트의 초월론적 취미론에서 취미 개념과 반성 개념이 갖는 긴밀한 연관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미감적 관조를 반성적 취미의 전형적 특징으로 제시할 것이다. 칸트의 감성 개념이 인식론의 맥락에서는 인식을 위한 질료의 수용 능력을, 윤리학의 맥락에서는 감각적 자극에의 경향성을 가리키는 용어였다면, 미학의 맥락에서는 인간 존재 특유의 감정능력을 가리키는 용어로 확장된다. 순수 미감적 감정 본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칸트는 자유로운 무관심적 만족의 감정을 제시한다. 감성 본연의 가치를 오롯이 나타내는, ‘호모 에스테티쿠스’의 면모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표징이 이러한 미감적·반성적 감정이다. 칸트는 초월론적 자유 개념에 대한 자신의 구상을 허물지 않으면서도 도덕적으로 자유로운 관심과 결부된 만족과는 근본적으로 차별화되는 무관심적 만족을, 다시 말해 미학 특유의 자유를 입증하고 있다. 대상의 표상에 대한 미감적·반성적 관조는 바로 이 미감적·반성적 판단력 특유의 ‘활동’이다. 대상으로부터 모종의 개념을 채근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상으로부터 촉발된 질료에 애착도 갖지 않으려면 주관은 대상을 그것 스스로 고유하게 제 자리에 있게끔 그대로 두어야 한다. 요컨대 대상에 대한 관심을 배제하려는 주관의 태도는 동시에 - 감성적이든 이성적이든 - 그 어떤 능력으로도 대상을 지배하지 않으려 노력하는, 오히려 더욱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이다. 미감적 반성의 주관이 관조적 태도를 통해 자신의 대상에 선사하는 호의는 근대 미학적 사유의 궁극목표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 목표란 합리성의 이름 아래 인간이 추진해 온 대상의 구성, 지배, 파악 등의 행위 아래 가려진 존재자 특유의 질적 고유성에 대해 이성적 인간 스스로 다시 호의를 선사하는 일이며, 관찰자의 특정 의도에 좌우됨 없는, 혹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려는 그 의도만 있을 뿐인 태도를 미학적으로 재해석하는 일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taste and the concept of reflection in Kant's transcendental theory of taste. To that end, this paper will present aesthetic contemplation a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reflective taste. Whereas sensibility is a term referring to the receptive faculty of materials for cognition in the context of epistemology, and inclination to stimulation in the context of ethics, it is expanded to a term referring to the faculty of feeling unique to human beings in the context of aesthetics. What Kant presents to explain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pure aesthetic feelings is the feeling of free disinterested satisfaction. A sign that that solely shows the true value of sensibility and directly shows the countenance of ‘homo aestheticus’ is the aesthetic-reflective feeling as such. While not tearing down his basic conception of the transcendental concept of freedom, Kant proves the disinterested satisfaction fundamentally differentiated from the satisfaction combined with morally free interest, in other words, the freedom unique to aesthetics. The aesthetic-reflective contemplation of the representation of objects is this ‘activity’ unique to aesthetic-reflective judgment. In order not to urge a certain concept from an object nor to have attachment to the material affected by the object, the subject must leave the object as it is so that it uniquely is in its place by itself. In short, the subject's attitude to exclude interest in the object is at the same time - whether sensible or rational – an attitude to make effort not to dominate the object by any faculty, which is rather more positive and active. The favor that the subject of aesthetic reflection presents to its object through a contemplative attitude clearly shows the final end of modern aesthetic thinking. The goal is for rational humans themselves to present favor again under the name of rationality for the qualitative uniqueness unique to beings that are hidden under the acts of constitution, domination, and grasping of objects that have been promoted by humans and to again take notice of the attitude, which is not influenced by a certain intention of the observer, or reinterpret the attitude with only the intention to observe things as such aesthetic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