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 중소도시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의 유휴공간 활성화 방안 연구 - 충주시 어울림시장 부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Idle Space in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as of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 Focused on the Use of the Site of the Eourim Market in Ch)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4.12
10P 미리보기
지방 중소도시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의 유휴공간 활성화 방안 연구 - 충주시 어울림시장 부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 79호 / 321 ~ 330페이지
    · 저자명 : 윤성원

    초록

    지방 중소도시는 지방소멸에 가장 근접해 있으며 대도시처럼 대중교통이 발전하지도 못했다. 또한, 오랜 시간 융성했던 원 도심 상권은 아파트 밀집 지역의 상가로 이미 상권 분산이 이루어져 접근성이 개선되지 않으면 불편함을 감수하고 원도심 에 가야 할 동기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 중소도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유휴공간 활용이 접근성을 개 선하는 주차장 시설을 중심으로 선정하는 과정과 결과를 공유하는 데 있다. 연구범위는 충주시 원도의 역사문화환경 보존 지역 안에 철거되는 어울림 시장 건물이다. 연구방법은 학술논문, 학위논문 등의 문헌 조사와 소상공인 진흥공단 상권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현장 조사로 부지 여건 및 주변 시설현황 등을 분석하였으며 주민 의견을 인터뷰하여 설문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내용은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에서의 건축행위, 도시계획시설 및 유휴공간에 대한 이론 고찰을 진 행하였고 선행연구를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 원도심 활성화, 유휴공간 활용, 도시시설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시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3장 부지 현황 분석에서는 부지 여건과 현상변경 허용기준, 일방통행과 주차장 현황, 공공 시설, 문화재, 로컬카페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주민설문 분석, 주변 경관, 상권분석, 부지 활용과 관련된 법 검토 등을 종 합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4장 부지 활용 제안은 5가지 방향을 제시하고 3가지 디자인 안을 제시한 후, 5가지 방향을 기 준으로 디자인을 평가하여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대도시는 원도심 대중교통이 타당할 수 있으나, 지방 중소도시는 접근 성 향상을 위해 주차장 우선 도입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 중소도시의 원도심 활성화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 에게 시설의 우선순위 선정에 실증적인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province, the downtown commercial districts that have flourished for a long time have already been dispersed to commercial districts in densely populated apartment areas, so if accessibility is not improved, there is little motivation to endure inconvenience and go to the downtow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are the process and results of selecting parking facilities that improve accessibility by utilizing idle space for revitalizing downtown area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province. The scope of the study is the demolished Eoullim Market building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old downtown, Chungju. The research method was to use literature such as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and the Small Business Corporation’s commercial district analysis program. In addition, the site conditions and surrounding facility status were analyzed through field investigations, and the opinions of residents were interviewed and a questionnair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earch content was to conduct a theoretical review of construction activities, urban planning facilities, and idle space in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as, and to examine previous studies on permission for changes in cultural properties, downtown revitalization, utilization of idle space, and selection of urban facility locations, and to derive implications and differences. In Chapter 3, Analysis of Site Status, site conditions and standards for allowing changes to the current status, one-way streets and parking lot status, public facilities, cultural assets, local cafes, etc.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comprehensive analysis was conducted including analysis of resident surveys, surrounding landscape, commercial district analysis, and review of laws related to site utilization. Chapter 4, Proposal for Site Utilization, presented five directions and three design plans, and then evaluated and presented the designs based on the five directions. In the conclusion, it was discussed that while downtown public transportation may be feasible for large cities,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need to introduce parking lots first to improve acces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