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등의 몰락에 대한 영화적 대응과 의미 - 영화 <설국열차>와 <기생충>을 중심으로 - (The Cinematic Response to Collapse of Equality and Its Meaning- Focused on films and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0.03
27P 미리보기
평등의 몰락에 대한 영화적 대응과 의미 - 영화 &lt;설국열차&gt;와 &lt;기생충&gt;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75호 / 7 ~ 33페이지
    · 저자명 : 정현경

    초록

    봉준호는 그의 영화들을 통해 양극화된 세계상을 이미지화하거나 체제 전복을 꿈꾸는 집단 혹은 불평등 속에서 탈주하는 개인을 그려내며 불평등한 사회에서 평 등 내지는 상생의 의미를 묻고 있다. 6년이라는 시간차를 두고 만들어진 영화 <설국열차>와 <기생충>도 바로 그러한 영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영화는 서 로 다른 방식으로 불평등에 대응하는 인간을 다룬다.불온하게 떠오른 인물들이 불평등에 대응하는 양상의 근본적인 차이를 유발한 세계상과 이들의 대응이 지니는 정치ㆍ사회적 의미는 과연 무엇인가를 구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영화의 제목이기도 한 ‘설국열차’는 열차 밖이라는 빙하 공간으로의 이동 제한 뿐만 아니라 칸으로 구획된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을 제한ㆍ금지하는 폐쇄적 정치 공간이다. 이곳에서의 ‘공간의 단절성’과 ‘전진 불가능성’은 시스템의 질서와 균형 유지를 위한 대의명분일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해서는 폭력과 학살마저 정당화한다.
    열차의 꼬리칸 탑승객은 노동에서조차 배제된 잉여적 존재이자 열차라는 세계의 안녕을 위한 필요재와 폐기물 사이를 표류하는 존재이다. 인간성 자체를 부인당한꼬리칸 탑승객은 폭력적인 시스템에 지속적으로 폭력으로 대응한다. 따라서 거대 시스템의 전복이라는 이들의 폭력은 폭동이나 혁명이라는 정치적 함의를 지닌다.
    영화 <기생충>은 거대 시스템의 이미지를 지우고 대신 영화적 세계를 탈주하 는 개인으로 채운다. 때문에 이 영화에서 불평등은 사회나 국가가 아닌 개인의 문 제로 치환된다. 이 세계에도 <설국열차>와 마찬가지로 잉여적인 인물들이 존재하 는데, 그들에게는 계층 이동이 차단되어 있다. <기생충>은 ‘계단’과 ‘비’라는 수직 적 이미지 및 페디스털 다운 쇼트(pedestal down shot)를 통해 상승 불가능성을 보여준다. 무한 경쟁과 능력주의에 내던져진 이들은 결국 생존을 위한 동류 간의 폭력과 상위 계층에 대한 적대적 폭력으로 대응하며, 그들의 대응은 범죄가 되고 만다.
    이처럼 두 편의 영화를 통해 양극화된 세계에서 불온한 존재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잉여적인 존재의 폭력이라는 대응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그들을 불온한 존재로 전락시키고 폭력으로 대응하도록 한 세계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 다. 이를 통해 봉준호가 질문하는 것은평등 유토피아의 건설이나 신봉의 가능성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영화를 통해 상생의 방법으로서 인간의 존엄성과 충분성에 대해 재고할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다.

    영어초록

    Director Joon Ho Bong describes the picture of the polarized world through his films. To present this world he stars groups or individuals targeting subversion of the established order. <SNOWPIERCER> and <PARASITE>, produced by director Bong, are the films that express such characteristics as they are. However, the characters in these two films respond to inequality in different ways. The difference in the ways of responding to the world between the characters is due to a difference of the picture of the world shown in the films. Violence responding to inequality, used by the characters in each film, has different meanings for that reason. This article aims at clarifying the facts.
    Space in the film <Snowpiercer> is where people are banned to get out of the train or move into other compartments. This space is the place where violence and genocide are even justified to preserve order. The passengers boarding the trail compartments, who are redundant, are not considered as humans. Thus they dream to overthrow the system through violence. Violence of the redundant earns the value of revolution in that sense.
    Space in the film <PARASITE> is where the gigantic system disappears and individuals who cause violence and crimes exist instead. The characters of this film are the redundant as those in the film <Snowpiercer>. The redundant in the world of <PARASITE> are not only able to move up in the world but also have to fiercely compete to survive with other redundant people. Eventually these redundant people cannot but respond with violence for their own survival. Therefore, their violence leads them to crimes and they finally have no choice but to violate the law.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irector Joon Ho Bong made a picture of the polarized world through his films <SNOWPIERCER> and <PARASITE>. Through these two films the fact was found that violence is the way the redundant respond to the world. Thus we should reconsider human dignity and sufficientness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