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점 지역 대기층 상부의 각력에서 산출된 삼엽충 화석군의 의미 (A TRILOBITE FAUNA FROM THE BRECCIAS OF THE DAEGI FORMATION AT THE DONGJEOM SECTION, TAEBAEK, KOREA AND ITS GEOLOGICAL IMPLICATION)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0.12
9P 미리보기
동점 지역 대기층 상부의 각력에서 산출된 삼엽충 화석군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생물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생물학회지 / 26권 / 2호 / 173 ~ 181페이지
    · 저자명 : 박태윤, 최덕근, 우주선

    초록

    괴상의 탄산염암으로 주로 이루어진 대기층은 일반적으로 천해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태백층군의 모식 지역인 동점 단면의 대기층 상부에 있는 각력들은 생물초 주변의 전사면 또는 후사면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되었었다. 동점 지역 대기층 상부의 각력을 채취하고 이를 염산 처리하여 5종의 삼엽충 화석(Pseudagnostus sp., Jiulongshania regularis, Bergeronites sp., dameseliid gen. et sp. indet. 1, dameseliid gen.
    et sp. indet. 2)을 얻었다. 그런데 이 삼엽충 화석군은 태백시 북부 가덕산 단면의 세송층 최하부에서 발견된 화석군에 속하며, 대기층 상부의 화석군과는 전혀 다른 종류의 삼엽충 분류군이다. 이는 태백지역에 단층이 생성될 당시 세송층 하부의 일부가 대기층의 상부와 섞여 각력으로 남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는 기존에 보고되었던 것처럼 대기층의 각력이 초전사면 또는 초후사면 같은 퇴적환경에서 퇴적된 것이 아님을 의미하기 때문에 대기층의 퇴적환경과 나아가서 태백산 분지의 지체구조를 밝히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middle Cambrian Daegi Formation is predominantly composed of white to light gray massive to thin-bedded limestone, and oolitic and dolomitic limestone. The formation is generally known to have deposited in a shallow-marine setting. However, some studies suggested that the Daegi formation was deposited in a front-reef or back-reef slope environment, based on the presence of the breccias in the upper part of the formation near the Dongjeom area. Digesting the breccias with hydrochloric acid, five trilobite species were recovered: i.e.,Pseudagnostus sp., Jiulongshania regularis, Bergeronites sp., dameseliid gen. et sp. indet. 1, and dameseliid gen.
    et sp. indet. 2. The faunal assemblage shows a close affinity to the fauna from the Stephanocare Zone of the Sesong Formation, while it is markedly different from the recently reported fauna of the upper part of the Daegi Formation. This result is inconsistent with the interpretation that the Daegi Formation was deposited in a front-reef or back-reef slope environment, and indicates that the breccias within the Daegi Formation were derived from the overlying Sesong Formation by the fault movements in the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생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