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忠淸道 沃川 資風書堂의 운영과 인적구성 (The Management and Human Composition of Japung Seodang in Okcheon, Chungcheong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1.11
36P 미리보기
17세기 忠淸道 沃川 資風書堂의 운영과 인적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4권 / 2호 / 245 ~ 280페이지
    · 저자명 : 고수연

    초록

    資風書堂은 조선 초기인 정종~태종 연간(1398~1418)에 창건되었다. 그동안의 서당 연구가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忠淸道 沃川郡에 위치한 자풍서당의 검토는 다양한 지역의 서당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자풍서당원의 科擧 급제자 명단인 『書堂連桂案』에는 28명이 등재되어 있는데, 그중에 6명이 임진왜란 이전에 급제된 인물이었다. 1636년에 작성된 자풍서당의 堂憲인 <齋中約條>에도 과거급제 관련 조항이 남아있다. 이를 통하여 자풍서당은 科業교육을 담당한 조선전기 향촌서당의 한 사례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재중약조> 31개조 분석을 통해서 17세기 자풍서당의 임원구성, 재정운영, 서당 입학과정, 거접규칙, 과거급제시 포상 등 서당운영과 교육규칙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자풍서당의 인적구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서당에 소장된 儒案인 『서당연계안』을 검토한 결과 서당임에도 불구하고 1426년부터 1894년까지 28명의 과거 급제자를 꾸준히 배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유안인 『資風書堂仙案』과 『서당연계안』을 함께 검토한 결과 300여 명에 가까운 당원이 기록되어 있었는데, 17세기에 태어난 옥천인물들이 많았다. 따라서 이 시기가 자풍서당의 전성기였으며, 서당에서 주로 옥천인물들이 교육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서당원들은 본관별로 인천이씨․옥천전씨․함양여씨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이들 가문은 南人계 성향을 보이면서 옥천지역 西人-老論계 사족과 대립하며, 書院을 이용한 鄕戰도 불사하였다. 그러나 결국 조선후기 중앙정계에서 서인-노론이 패권을 잡으면서 자풍서당 당원들은 옥천이라는 향촌사회에서조차 힘이 약해진다. 이를 통하여 서원뿐만 아니라 지역에 위치한 서당 역시 조선후기 당쟁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Japung Seodang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ng~King Taejong (1398~1418) in early Joseon. As previous Seodang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Gyeongsang Province, a review of Japung Seodang located in Okcheon-gun, Chungcheong Province will have significance in promoting the study of Seodangs in various areas. The study of Japung Seodang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cases of Seodangs offering education for the State Exam during the former part of Joseon as there are fewer studies on Seodangs from that period than from the latter part of Joseon.
    In Seodangryeongyean, which is a list of people who passed the State Exam housed at the Japung Seodang, there are records of 28 people, six of whom passed the exam before Imjinwaeran. Jaejungyakjo, which was written to establish the rules of Japung Seodang in 1636, holds three provisions about passing the State Exam.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Japung Seodang was in the early form of Hyangchon Seodang, whose nature was similar to that of Seojae in charge of education for the State Exam. The 31 articles of Jaejungyakjo show that Japung Seodang was actively managed with a set of detailed rules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study also reviewed the Seodangryeongyean, which is a list of Confucian scholars that studied at the Seodang and were housed there, to examine its human composition. Although it was a Seodang, Japung Seodang produced as many as 28 people that passed the State Exam throughout Joseon from 1426 to 1894.
    Another list of Confucian scholars, the Japungseodangseonan, was also reviewed along with Seodangryeongyean. The records show that nearly 300 people were registered on these lists, and they were usually born in Okcheon in the 17th century, which witnessed the prime years of Japung Seodang. The main family clans were the Lee family of Incheon, the Jeon family of Okcheon, and the Yeo family of Hamyang. These families had the Namin line propensity, confronted the Seoin-Noron line Sajoks in the Okcheon area, and did not shy away from Hyangjeon using a Seowon. After the Seoin-Noron line seized supreme power in central politics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however, the members of Japung Seodang grew weak in their power in the Hyangchon community of Okcheon. These results show that Seodangs as well as Seowons were under the influence of party strife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