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준호의 <기생충>에 나타난 장르적 융합과 창의성 (Study on the cinematic genre convergence and creativity in Bong Joon-ho's "Parasite")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0.09
11P 미리보기
봉준호의 &lt;기생충&gt;에 나타난 장르적 융합과 창의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8권 / 4호 / 191 ~ 201페이지
    · 저자명 : 송만용

    초록

    본 소고는 2019년 “칸 영화제 Cannes Film Festival” 황금종려상수상과 미국 “아카데미상 4개(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영화상)부분 수상한, 영화<기생충>의 장르적 융합과 변용 그리고 창의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비영어권 영화가 칸과 미국의 아카데미상을 수상할 수 있는 이유를 살펴볼 의미있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기생충>은 먼저 가장 한국적이라고 할 수 있는 상황, 즉 반지하라는 이국적 공간을 통해 서구사회에서 친숙한 “빈부갈등”이라는 주제를 설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전체적으로는 서스펜스적 스릴러인 <기생충>에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적 단초인 하마르티아와 봉준호식 유머를 섞어내어 국제적인 호응을 얻어낼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생충>은 도입부에 IPtime, 유튜브 등 시대적 공감 아이템을 사용하여 국제적인 동시성과 소통성을 확보한 영화임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봉준호의 <기생충>은 구로자와 아키라, 알프리트 히치콕 등의 거장의 스릴러적 장르방식을 따르면서도 장르적 융합과 변용, 즉 비극적 구성과 블랙코미디적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동시대 미디어적 아이템을 사용한 창의적인 영화이면서 2020년 한국사회의 모순적 단면을 넘어 글로벌적 보편성을 담고 있는 문제적 영화임을 알게 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의식과 장르적 요소의 결합으로 소위 봉준호식 장르를 만든 창의성을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ill study Bong Joon-ho's film <Parasite>, which won the Palme d'Or, Golden Palm, 2019 Cannes Film Festival, and four Academy Awards (Article, Director, Screenplay, and International film awards). The reason why <Parasite> could win the Academy Award for changes in the academy and non-English films was to be considered through English subtitles, genre convergence and dissolution.
    Therefore, I think it is a meaningful work to examine the reasons why non-English-speaking films can win the Academy Awards in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Parasite> can summarize the genre transformation and creativity in two point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through the exotic space of our own world, the theme of “the rich and poor” familiar in Western society was set, and the suspense-like thriller and black comedy were introduced, and Bong Joon-ho-sik humor was mixed and international response was obtained. Next, I learned that it has a familiar tragic structure, a Hamartian composition. Finally, I found out that <Parasite> is a film that secures international synchronicity and communication by using contemporary sympathetic items such as IPtime and YouTube in the introduction, despite the most Korean situation.
    Therefore, Bong Joon-ho's "Parasite" is a creative film that follows the genre style of master craftsmen such as 'Akira Kurozawa' and 'Hitchcock Alfred'... and it is a problematic film that contains contradictory aspects of Korean society in 202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