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생충>에 드러난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균형 고찰 (A study of the contradictory balance of capitalist society revealed in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1.06
23P 미리보기
&lt;기생충&gt;에 드러난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균형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60권 / 2호 / 327 ~ 349페이지
    · 저자명 : 조규찬

    초록

    본고는 <기생충>이 자본주의 사회의 글로벌 계급구조의 모순적 균형에 대한 민낯을 보여줌으로써 서로 다른 계급의 강제적 공생 형성이라는 위험성을 폭로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여전히 자본주의 사회에서도 개인의 생존 욕구의 충족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문제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은 개인의 노력 여부와는 별개로 모두에게 공평하게 분배되지 않음으로써 계급의 불균형이라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생존의 기본 조건인 자본과 이를 바탕으로 더 많은 소득을 창출하는 불로소득이 특정 계급에 몰리는 현상은 계급의 불균형을 발생시킴으로써 계급의 고착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
    <기생충>은 최상층 계급과 최하층 계급의 강제적 공생 형성을 통한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불균형의 위험성을 드러낸다. 중요한 점은 각 계급에 해당하는 집단의 행위와 그 결과가 자본주의 사회의 새로운 글로벌 계급구조 전체를 대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단지 <기생충>은 각 계급에 해당하는 집단의 행위과 그 결과를 제시하는 데 그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인 언급하지 않는다.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불균형이라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글로벌 계급구조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연대를 통한 개선 노력이 이루어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목숨의 연명을 위하여 생존 욕구 충족에만 급급한 프레카이아트와 룸펜 프레카라이트 계급의 내부적 분리가 지속된다면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불균형 문제는 결코 해결될 수 없다. 생존 욕구의 충족을 넘어 충분한 자본과 그로 인한 불로소득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하위층에 해당하는 두 계급의 공감대 형성을 통한 연대가 중요한 것이다. 즉, 프레카리아트와 룸펜 프레카리아트 계급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처한 상황이 개인적 부족함 때문이 아닌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적 문제 때문임을 자각해야만 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생충>은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균형을 향한 하위층 계급의 연대가 아닌 숙주를 차지하기 위한 동일한 하위층 계급으로서 기택 가족과 문광․근세 부부의 처절한 사투를 보여준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균형의 위험성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연대를 통한 개선 노력이 아닌 개인의 분노 표출에 그친다는 점에서 해결될 수 없는 문제임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act that <Parasite> exposes the reality of the contradictory balance of the global class structure of capitalist society, revealing the dangers of the formation of compulsory symbiosis between different classes. In a capitalist society, the fulfillment of an individual's need to survive is still the most important issue. However, capital in such a society creates a problem of class imbalance by not being distributed equally regardless of individual efforts. In particular, the phenomenon in which capital and passive income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class results in class imbalance, which eventually results in class fixation.
    <Parasite> reveals the danger of contradictory imbalance in a capitalist society through the formation of compulsory symbiosi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actions of the groups and their consequences for each class do not represent the entire new global class structure of capitalist society. However, <Parasite> presents the actions and results of the group corresponding to each class and does not mention a concrete solution to this. This is because,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contradictory imbalance in a capitalist society, it is necessary to have a change in awareness regarding the new global class structure and make improvement efforts through solidarity. If the internal separation of the Precariat and Lumpen Precariat classes focused only on the fulfillment of one's desire for survival, the contradictory imbalance of capitalist society can never be solved. In order to achieve sufficient capital and the resulting passive income, solidarity through the formation of consensus between these two divisions of the lower class is important. In other words, those who fall into the Precariat and Lumpen Precariat classes must be aware that their situation is not because of personal deficiency, but because of the structural problems of capitalist society.
    In this regard, <Parasite> shows the desperate struggle of Kitack's family and the Moongwang and Geunsea couple as the same lower class attempting to occupy the host, not the solidarity of the lower class towards the contradictory balance of capitalist society. However, despite recognizing the dangers of the contradictory balance of capitalist society, it limits itself to show the anger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trying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through solidarity, clearly indicating that it is a problem that cannot be sol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