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생충>에 나타난 감각적 요소와 한국적 맥락 (Understanding the sensual elements in Parasite and its Korean context)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1.04
19P 미리보기
&lt;기생충&gt;에 나타난 감각적 요소와 한국적 맥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3권 / 4호 / 461 ~ 479페이지
    · 저자명 : 김영훈

    초록

    2019년 <기생충>은 작품상을 비롯한 4개의 오스카상을 수상하게 되었고 봉 감독의 기자회견은 이후 끊이지 않고 이어졌고 사람들은 영화적 성공과 흥행의 이유를 묻게 되었다. 한국 관객이봐야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던 영화의 디테일들은 오히려 가장 한국적이어서 가장넓게 전 세계를 매료시킬 수 있었던 것 아닌가라며 봉 감독 스스로 평가했다. 이 연구는 감독이스스로 밝힌 이 지점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고 이와 연관된 핵심 질문들을 다루고자 한다. 그가말하는 한국적 디테일은 무엇인가? 개별 디테일은 무엇이며 그것들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한국적맥락이란 과연 무엇인가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 본인이 말한 ‘한국 관객이 봐야 뼈 속까지 이해할수 있다는’ 디테일을 하나하나 밝히지는 않았지만 <기생충> 속에서 찾을 수 있는 ‘한국적’ 요소들은 넘쳐난다. <기생충>은 영화 안팎에서 찾아지는 로컬들의 특수성과 그 다양성을 어떻게 평가할것인가 하는 인류학적인 문제를 던지고 있는 셈이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감각적 디테일을 중심으로 영화의 오감적 요소들을 한국적 특수성이라는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감각적 디테일의 향연은냄새를 통한 후각적 암시를 시작으로 첫 장면에서부터 영화를 끌어가는 강력한 힘으로 작동한다.
    논문에서 살펴본 영화<기생충>의 감각적 디테일들은 이율배반처럼 무감각의 세계와 맞닿아있다. 총체적 체감의 예술을 총동원한 듯한 감각적 영화는 실제 도저히 있을 수 없는 무감각의인간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다송이의 생일파티에서 박 사장을 도끼로 내려찍기 전까지 기택은어떤 수모나 모독에도 끄떡하지 않는 인물이었다. 왜 기택은 모욕감을 느끼지 않는가? 놀라운인내력으로 참아낸 것인가 아니면 체념한 것인가? 만약 인내도 체념도 아니라면 기택과 그 가족들은 어떤 존재방식을 선택한 것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
    다양한 생존의 기술들을 펼쳐가며 성공적으로 박 사장의 집에 잠입한 이들에게 근본적인 질문은 일어나지 않는다. 가족 누구도 흙수저들에겐 기회마저 거부된 세상을 비난하거나 나아가 그런세상을 뒤바꿔 보려는 전복의 꿈을 꾸지 않는다. 전복의 기획 대신 그들은 ’있는 자‘, 가진 자’들을인정하고 대신 그들로부터 빼먹는 것을 정당화한다. 기택의 식구들은 모멸감을 느끼지 못하고도덕, 윤리도 모르는 인간들이 아니라 생존을 선택한 것이다. 영화 속 기택의 식구들에서 현실을구원할 대안을 요구하거나 기대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기생충>의 세계적 성공은 영화가 보여주고 있는 강력한 감각적 요소들이 아니라 기택 가족은 물론 하향 추락하고 있는 전 세계 노동자 가족에게 보편적 설득력을 갖고 있다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winning the Oscar awards for Parasite, Bong Joon Ho’s international status as a movie director has been greatly enhanced, and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his movies around the world. The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success and popularity of Parasite have become focal questions for movie critics and people in the film industry. Bong himself explained during an interview with journalists that the key to the success of Parasite was the particularities of Korean culture that were initially considered quite difficult for foreign audiences to properly understand. This study begins with this observation by the movie director. Which details can be defined as particularly Korean? We need to identify them and further investigate the Korean contexts underlying diverse aspects such as the objects, events, characters, and narratives of Parasite. What makes Parasite unique and at the same time successful with world audiences are its local particularities, unlike the common genre elements of Hollywood movies made for universal appeal. Parasite instead poses a set of anthropological questions about how individuals of different societies react to existing crises for their socio-cultural survival. To address this issue, I focus on how this movie made use of “sensual” elements in its narrative and delineate those particularities in detail. From smells to sounds, Bong maximizes the use of our bodily senses to drive the powerful events throughout the movie; various sensual elements and experiences were carefully crafted along with the progression of narratives to help build the tensions among the characters of the movie and heighten the spectator’s involvement in it.
    Despite this powerful and holistic appeal to the bodily senses, the very nature of the key characters of Kitak’s family and their total lack of moral sense surprises audiences.
    Prior to the final violent incidents during Dasong’s birthday, Kitak never showed resentment and anger toward Park’s contemptuous attitude, and never tried to cross the so-called “line” between him and his employer. Did he ever feel any humiliation but hid his real emotions? Or did he accept the given situation because there was simply nothing he could have done? If his actions reflected neither resignation nor endurance, we must examine these choices more deeply.
    With many cunning calculations and skills, all four of Kitak’s family successfully gained household jobs and penetrated the Parks’ residential realm, but they never asked mor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ir life choices. They seemed to accept that there were no social ladders of upward mobility for them and instead legitimized their deceitful actions to become parasites on the Parks. Should we blame them for becoming parasites? I think it is unreasonable to demand them to overturn the existing social gap between the haves and have-nots. They were destined to live precariously under the given social conditions, and it was a more realistic option for them to be parasite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Parasite is not just a pessimistic and dark cinematic rendition of reality but should be considered to raise a serious question, artfully distorted by Bong Joon Ho, about the future of contemporary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