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주병영의 동학농민군 진압과 모충사 (A Study on The suppression of the Donghak peasant army by Cheong Ju's barracks military troops and the Mochungsa(慕忠祠))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7.06
36P 미리보기
청주병영의 동학농민군 진압과 모충사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논리성
    • 신뢰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인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심층 연구 제공
    • 🔍 청주병영의 지정학적 중요성과 동학농민군 진압 과정에 대한 상세한 분석
    • 📜 국가 현충시설의 역사적 변천과 기억 보존의 중요성 조명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43호 / 145 ~ 180페이지
    · 저자명 : 김양식

    초록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청주병영이 동학농민군을 진압하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희생된 전몰장병의 추모공간인 모충사에 관해 살펴보는데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주는 삼남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었고 충청도 군사령부인 청주병영이 있었기 때문에, 동학농민혁명사에서 지정학적 위치상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다.
    둘째, 1887년에 진남영(鎭南營)이 설치된 청주병영은 충청도에서 동학농민군을 진압하는 거점 역할을 하였다. 청주병영은 동학농민혁명이 발발하자 충청도지역 동학농민군 진압 책임을 맡았을 뿐 아니라, 전주성 수복을 위해 2개부대를 전주성에 파견하였다. 9월 이후에는 정부군과 일본군을 도와 청주지역 동학농민군 진압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셋째, 청주병영군은 동학농민군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73명이 대전에서 몰살당하였다. 이 사건은 동학농민혁명기 정부군이 입은 가장 큰 피해였다. 대한제국 정부는 1903년 전몰장병에 대한 추모사업을 인정하여, 유족들은 1904 년에 청주에 모충단을 건립하였다. 이는 국가에서 인정한 추모공간이자 현충시설이었다.
    넷째, 모충단은 일제 강점기에 들어와 국가 현충시설로 인정을 받지 못하였다. 유족들은 1914년에 모충사를 건립하는 등 자체적으로 노력하였으나, 그위상과 존재가치는 점점 줄어들어 오늘날 존립 자체를 위협받고 있다.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균형된 기억과 추모 차원에서도 모충사는공공영역에서 보존·관리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study in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process of suppression of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about the Mochungsa(慕忠祠). Through indepth analysis this paper was able to grasp the new facts as follows.
    Firstly, Chung Ju was very important region in the history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reason is that it was located on a road between South and Seoul, and moreover, the Cheong Ju's military barracks, which is military headquarters of Chung Cheong Do, was there in Chung Ju.
    Secondly, the Cheong Ju's military barracks took a role of suppression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Chung Cheong Do. When Donghak peasant army was broken out, the Cheong Ju's military barracks assumed responsibility to suppress Donghak peasant army. Furthermore, they send 2 troops to Jeonju to recapture the Jeonju Fortress which has been occupied by Donghak peasant army. After September, they helped Government and Japanese forces to suppress Donghak peasant army in Cheongju.
    Thirdly, in the process of suppression of Donghak peasant army, 73 people of Cheong Ju's military barracks died in Daejeon. This was government military’sbiggest damage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period. In 1903, Korean Empire Government agreed the memorial project of fallen soldiers, and therefore, the bereaved families built Mochungdan in 1904. This was the memorial facilities for remembrance which has recognized by country.
    Fourthly, Mochungdan has not been recognized as national memorialfacilities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Although bereaved families built Mochungsa in 1914, its status and value had fallen off. Today, Mochungsa is under threat of existence. In future, Mochungsa need to be preserved and managed by public dom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