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숙주, 충·불충을 다시보다 (Re-examination of Shin Suk-ju’s loyal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0.06
44P 미리보기
신숙주, 충·불충을 다시보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4호 / 479 ~ 522페이지
    · 저자명 : 나천수

    초록

    신숙주는 세간 사람들에게 변절자의 대명사처럼 인식되고, 그동안 우리나라 소설이나 TV 드라마에서도 단종을 지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변절자로 묘사되었다. 그 이유는 남효온이 지은 「육신전」에서 단종의 편에 서지 않았다는 말 한마디 때문이다. 또 남효온의 「육신전」을 단초로 일제 강점기 이후부터 조선인의 혼을 폄하하는 차원에서 신숙주를 변절의 대명사로 소설, 영화, TV드라마에서 등장케 하였다. 과연 신숙주는 변절자인지 궁금하다. 논자는 최초 신숙주를 폄하하는 글을 쓴 남효온의 『추강집』 속에 수록된 「육신전」을 살펴보던 중에, 1576년 선조 때 발견되어 경연에서 육신전에 대한 잘못된 점을 선조가 열거하면서 질타하였는데, 현재 세간에서 볼 수 있는 『추강집』에는 1577년에 간행된 것으로 이 재간본에는 선조가 잘못되었다고 지적한 부분이 모두 삭제 된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선조가 발견한 추강집의 오류는 초간본에서의 오류를 지적한 것이다. 그리하여 선조가 지적한 부분을 모두 개작하여 재간된 간행본이 현재 세간에 발견된 『추강집』이므로 이를 위작이 아닐까 반문해 보는 것이다.
    한편 신숙주의 충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는 것은 그가 저술한 『해동제국기』라고 논자는 주장한다. 세종의 명을 받아 일본을 다녀온 사행보고서는『세종실록』102권[1443년(세종25년) 10월13일]자 기사에 분명히 ‘일본국(日本國)에 갔던 통신사 변효문(卞孝文)이 돌아와 경상도 옥포(玉浦)에 이르러 치계(馳啓)하기를’란 기록으로 보아 사행보고서는 이미 세종 때에 보고한 것이다. 그로부터 28년 후인 성종 때 사행 보고서로 『해동제국기』를 썼다는 말은 맞지 않은 것이다. 또한 『해동제국기』 서문에는 사행 보고서와는 전혀 무관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그것은 왕이 지녀야할 덕목을 열거해 놓은 것이다. 그러므로 이 부분에 착안하여 왜 『해동제국기』를 썼느냐에 질문을 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함으로 신숙주의 충(忠)의 단면을 밝혀 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loyalty of Shin Suk-ju who has been recognized by many as a traitor and has long been described as such in Korean novels or dramas for not supporting King Danjong. This was largely due to 『Yuk-Sin-Jeon」 by Nam Hyo-on where he commented that Shin Suk-ju did not stand by King Danjong’s side. Shin Suk-ju became a byword for betrayer as motivated by 『Yuk-Sin-Jeon」 and frequently appeared in a novel, movie or TV drama in order to disparage the spirit of the Joseon people. When King Seonjo discovered 『Yuk-Sin-Jeon」 in 1576, he criticized its errors at Gyeongyeon.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all the errors King Seonjo pointed out were deleted from 『Yuk-Sin-Jeon」 published in 1577, the only publication discovered to the current generation as part of Chu-Gang-Jip. If what was criticized in the first publication were all adapted and re-published, the book can be considered as a forgery.
    Meanwhile, Shin Suk-ju’s loyalty to the King can be found in his book Haedong Chegukki where he enumerated virtues for a king to keep. According to volume 102 of Sejong Chronicles, it was evident that a private report by Byun Hyo-mun to King Sejong after he came back from Japan was repor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refore, it does not make sense to say Haedong Chegukki was written as a private report 28 years later, during the reign of King Sungjo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discloses loyal aspect of Shin Suk-ju by reviewing Haedong Chegukk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