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디어・미디어담론이 생산하는 전통춤의 이미지 연구: 2016년 TV역사드라마와 관련 인터넷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raditional dance imagesproduced by media and media discourse: Focusing on TV historical drama and related internet articles in 2016)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7.03
22P 미리보기
미디어・미디어담론이 생산하는 전통춤의 이미지 연구: 2016년 TV역사드라마와 관련 인터넷기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44권 / 213 ~ 234페이지
    · 저자명 : 유화정

    초록

    본 연구는 현대 미디어 담론이 전통춤 이미지 생산에 일조한다는 가정 하에, 그 내용과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역사드라마 속 전통춤 장면과 관련 인터넷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6년에 방영된 TV역사드라마 8편 - <달의 연인-보보경심려>, <육룡이나르샤>, <대박>, <구르미 그린 달빛>, <장영실>, <장사의 신-객주>, <옥중화>, <마녀보감> 속 전통춤 장면과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뉴스 카테고리에 게시된 관련 인터넷기사들이다.
    전통춤 장면의 분석을 위해 ‘맥락, 연행자와 감상자, 춤의 종류, 강조되는 움직임과 에포트, 의상과 소품, 클로즈업 숏(close-up shot)’의 요소를 중점적으로 보았으며, 관련 인터넷기사의 내용에서 전통춤과 전통춤의 연행자를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 밝히기 위해 반복․강조되는 표현어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터넷기사의 생산관행이 전통춤의 이미지 및 담론 생산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전통춤 장면에 나타나는 전통춤의 이미지는 아름다운 외형과 신비로운 분위기, 그리고 보는 이를 강렬하게 유혹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그려지고 있었으며 이는 전통춤 연행자의 이미지와 동일했다. 또한 대부분 젊은 여성 주역연기자들이 춤의 연행자를 담당하였으며 카메라의 클로즈업 숏 기법은 연행자의 얼굴을 중점적으로 촬영하고 있었다. 드라마에 노출된 전통춤의 종류와 동작의 외형은 드라마의 시대적 배경이나 인물들의 신분과 같은 역사적 조건에는 합당하지 않았으나, 연행자의 성별과 신분이 여성무희․여성무당에 국한된 점은 실제 역사적 사실에서 전혀 벗어나지 못했다.
    인터넷기사의 내용 분석에서는 전통춤의 명칭이 전문적인 지식에 의거하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전통춤 및 연행자를 묘사할 때 각 장면 속 춤의 종류나 서사적 상황이 서로 다른데도 불구하고 유사한 표현어들을 사용했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는 인터넷기사 내용이 드라마의 제작자나 연예매체 기자의 의도보다는, 연행자를 연기한 여성연예인의 소속 기획사에서 제공하고 포털 사이트에서 여과한 자료라는 점과 관련 깊다. 결국 전통춤 장면을 홍보하는 인터넷기사는 해당 연예인의 인기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써 작성된 것이기에 이것이 전통춤 담론으로서 대중들에게 전파될 때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중미디어물을 제작하거나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기득권의 의도를 인식함으로써 그들의 상업적 이익을 위해 변형된 의미와 이미지를 제대로 파악하고 억압되지 않는 문화소비를 지향하고자 한다. 특히 현대 미디어와 미디어담론이 생산하는 전통춤의 이미지를 밝힘으로써 무용계 안팎에 존재하는 ‘춤’, ‘춤추는 사람’, 특히 ‘춤추는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연구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raditional dance scenes in historical dramas and related internet article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assuming that contemporary media discourse has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dance imag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traditional dance scenes from eight historical TV dramas, which were broadcasted in 2016: <Lovers of the Moon-BoBo Kyungsimryeo>, <Yookryongyinarshia>, <Daebak>, <Gurumigrindalbit>, <Jang Yeongsil>, <The Master of Business-Gaekju>, <Okjunghwa>, <Manyubogam> and related articles posted on the news category of the portal website Naver.
    The study showed that the image of a traditional dance appearing in the traditional dance scenes was portrayed as a beautiful, mysterious, or powerful means of tempting viewers. Most of young, female main actors played the dancers, and the close-up shots focused on the performers' faces. The types of traditional dances exposed to the dramas and the appearance of their movements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historical conditions, such as the background of the dramas or the status of the characters.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gender and status of the performers were confined to female dancers or female shamans could not go beyond the historical fact at all.
    I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internet articles, it was found that the names of traditional dances were not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It was also found that, when describing traditional dances and performers, similar expressions were used despite the different types of dances and narrative situations in each scene.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contents of the internet articles were provided by the agency of the female entertainers who played the actors and filtered through the portal site, rather than reflecting the intention of the drama's producer or entertainment media reporters. In other words, the internet articles promoting the traditional dance scenes were written as a means to increase the popularity of entertainers.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bears many problems when propagated to the public as a traditional dance discourse.
    This study is significant, revealing the image of “dance”, “dancer”, and “dancing woman” in and out of the dance system by revealing the image of traditional dance produced by contemporary media and media discourse. Fin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generalizing the images related to dance and preventing the excessive prejudice over d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