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창동의 <버닝>(2018)과 봉준호의 <마더>(2009)의 춤 장면으로 프로타주(frottage)된 가족주의와 디오니소스 세계 (Dance scenes from Lee Chang-dong's Burning(2018) and Bong Joon-ho's Mother(2009) Frottaged familism and the world of Dionysu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5.03
32P 미리보기
이창동의 &lt;버닝&gt;(2018)과 봉준호의 &lt;마더&gt;(2009)의 춤 장면으로 프로타주(frottage)된 가족주의와 디오니소스 세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영화연구 / 18권 / 1호 / 147 ~ 178페이지
    · 저자명 : 문관규

    초록

    이창동의 <버닝>과 봉준호의 <마더>는 춤 이미지로 주제의식을 표출한다. 춤 장면은 어트랙션 몽타주이자 동시대의 집단무의식을 가시화하는 매개물이다. 춤추는 행위는 지배 이데올로기와 작가적 인장을 명료하게 드러내는 프로타주(frottage)와 같다. 프로타주된 이데올로기 심층은 가족주의와 신자유주의의 모순이 자리한다.
    <버닝>은 주인공의 춤을 통해 가족에서 소외된 비정규직 청년세대의 망각하고 싶은 소망이 드러나며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이 수미상관된 <마더>에서는 서사적 특징과 디오니소스로 초극 의지가 돋보인다. 이창동의 <버닝>에서 춤은 <박하사탕>에서 소환한 도취의 춤을 어트랙션 몽타주한다. <버닝>에서 춤 장면은 가족의 소외와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제적 궁핍을 초극하려는 몸짓으로 전환된다. 한국청년세대의 경제적 불안과 가족의 보호에서 벗어난 가족구성원의 소외가 프로타주된다. <마더>의 춤 장면은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의 수미상관 서사를 지향하는 작가적 인장이다. 두 번째는 빈곤의 질곡과 가족주의의 억압에서 벗어나려는 자기 구제의 몸짓이다. 세 번째는 죄책감과 법의 심판에 대한 불안이라는 아폴론적 세계에서 춤을 통한 망각으로 디오니소스 세계로 진입한다.
    두 작품의 춤 장면은 몽타주 장면이면서 한국사회의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의억압과 하층 계급의 빈곤으로 인한 질곡이라는 한국의 집단정신을 담지한다. 동시대의 질곡은 춤이라는 예술적 행위를 통해 니체의 디오니소스 세계로 진입하여 망각을 통한 고통의 초극이라는 새로운 장을 개진한다. 한국영화는 인내를 통한 한의 세계에서 춤을 통해 초극하는 예술적 움직임으로 나아간다. 춤 장면은 망각과 초극의 예술적 표현방식으로서 영화에 적극적으로 소환되어 한에서 디오니소스로 전환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한국영화정신의 확장으로 여겨진다. 두 작가의 춤 장면은 가족주의와 계급주의 이데올로기에 지배된 에피스테메의 가시화이며 망각을 통한 초극지향성을 통해 한의 정서와 결별한다.

    영어초록

    Lee Chang-dong's Burning(2018) and Bong Joon-ho's Mother (2008) express their thematic consciousness through dance images. The dance scene is an attraction montage and a medium that visualizes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the contemporary era. The act of dancing is like a frottage that clearly reveals the ruling ideology and the artist's seal. In the depths of the ideology of protagonism lies the contradiction between familism and neoliberalism. Burning Through the protagonist's dance, the desire to forget the young generation of irregular workers who are alienated from the family is revealed, and in the first and last scenes, the will to Mother transcend the drama with its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Dionysus. Lee Chang-dong's Burning(2018) dance is Peppermint Candy (2000)a dance of euphoria summoned in is an attraction montage. Burning The dance scene is transformed into a gesture to transcend the alienation of the family and the economic deprivation of irregular workers.
    The economic insecurity of the Korean youth generation and the alienation of family members who have escaped the protection of their families are provoked. The dance scene is an artist's seal that aims for the narrative of the sumi-correlation of the first and last scenes. The second is a gesture of self-salvation to escape from the oppression of poverty and familism. The third is the Apollonian world of guilt and anxiety about the judgment of the law, and the entry into the world of Dionysus through oblivion through dance.
    The dance scenes in both works are montage scenes and convey the collective spirit of Korea, which is the oppression of the familial ideology in Korean society and the poverty of the lower classes. Through the artistic act of dance, the contemporary rebuke enters the world of Nietzsche's Dionysus and opens a new chapter in the transcendent drama of suffering through oblivion.
    Korean cinema presents a transcendent artistic movement through dance in the world of Han through perseverance. The dance scene is considered to be an extension of the spirit of Korean cinema in that it was actively summoned to the film as an artistic expression of oblivion and transcendent drama, and attempted to switch from Han to Dionysus. The dance scenes of the two artists are the visualization of epistemes dominated by familism and classist ideologies, and break with Han's sentiments with the emergence of dance images that show hyper-orientation through obliv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