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조선 시기 탈춤문화의 형성과 연행예술의 수준 (Tradition of Mask Dance Culture and Level of Performing Arts in the Times of Gojoseon)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09.12
46P 미리보기
고조선 시기 탈춤문화의 형성과 연행예술의 수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40호 / 253 ~ 298페이지
    · 저자명 : 임재해

    초록

    고조선 전후 시기를 민족문화 형성기라고 보았을 때, 민속문화의 기원도 이 시기의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탈춤의 전승을 입증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가 탈이며, 이러한 문화가 전승되는 문화적 기반을 이루는 것이 연행예술이다. 고조선 지역의 홍산문화 속에 고조선 이전 시기의 탈 관련 자료들이 다수 있고, 부여와 고구려 시기 탈 자료들이 보고될 뿐 아니라, 고조선의 악기유물들이 다양하게 갖추어져 있어 고조선 시기 탈춤문화 해석에 긴요한 자료 구실을 한다.
    고고학계에서는 1990년대부터 홍산문화를 고조선 이전 단계의 문화로 주목하는데, 이 지역의 유물 가운데 옥(玉)과 뼈로 만든 탈이 다수 보고되고 있어 주목된다. 옥이나 뼈의 재질상 얼굴에 쓸 수 있는 크기의 탈을 만들 수도 없고 만들어도 얼굴에 쓸 수 없기 때문에 작은 모형으로 탈을 만들었다. 중국학계에서는 옥기(玉器)의 크기와 상관없이 생활용구나 장식품이 아니라 제의용 신기(神器)로 사용했다고 해석한다. 옥의 기능과 탈의 기능이 일치하는 점이 흥미롭다. 굿문화에서 무당과 신을 매개하는 소통물이 바로 옥기이자 탈이어서, 옥탈은 제단이나 굿을 할 때 신의 현현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옥이나 뼈로 만든 탈 유물을 보면, 당시에 나무나 가죽 등 다른 재질로 만든 탈이 풍부했고 제의와 관련하여 탈춤문화도 상당한 수준으로 전승되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부여나 고구려 시대의 금동탈도 탈춤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긴요한 자료이다.
    탈춤과 같은 연행예술은 음악문화와 더불어 전승된다. 고조선 시대의 발굴유물 가운데 다양한 악기자료들이 고조선의 음악문화 또는 연행예술 수준을 뒷받침한다. 현악기 공후(箜篌)와 타악기 석경(石磬) 등의 가락악기는 중국보다 앞서며, 이 밖에도 뼈로 만든 피리, 청동방울, 북 등 관악기와 금속악기 등 다양한 종류의 악기들이 두루 갖추어져 있다. 옥탈이나 뼈탈처럼 뼈 피리와 석경, 청동방울 등의 악기도 오랜 세월 동안 썩지 않고 남을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이런 악기유물을 근거로 고조선의 악기와 음악문화, 연행예술 등을 추론할 때, 고조선시대에 상당한 수준의 탈춤문화와 연행예술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그러므로 민속문화의 기원을 연구할 때 상고시대의 유물과 기록 자료들을 충분히 검토해야 전래설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영어초록

    Regarding before/after the times of Gojoseon to be a formative period of raci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origin of folk culture on the basis of data of the times. Masks are concrete data to prove transmission of mask dance and such culture makes a handed-down cultural foundation of performing arts. In Hongsan culture of the Gojoseon area, there are a lot of mask related data before Gojoseon, mask data in the times of Buyeo and Koguryeo and diverse musical instrument remains of Gojoseon. Therefore, it plays a role of important data to analyze mask dance culture in the times of Gojoseon.
    The archeological society has regarded Hongsan Culture to be culture in the stage before Gojoseon from 1990s. It is reported that there are a lot of masks made of jade and bones out of remains in the area. Small-scale masks were made since masks to be worn in human faces with jade or bones could not be made and could not be worn in human faces even if they are made in a size as large as a human face. The Chinese scholar society analyzes that masks were used as a sacred instrument for a religious service, not living supplies or decorations, having nothing to do with a size of jade instrument. It is interesting that function of jade and function of mask are agreed. In Gut culture, jade instruments and masks connect Mudang with god.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a jade mask expresses a shape of god in an altar or Gut. Examining remains of masks made of jade or bones, it is guessed that there were a lot of masks made of other materials such as trees or leather at that time and mask dance culture would be handed down in a considerable level with regard to sacrificial rites. The gilt bronze masks in the times of Buyeo or Koguryeo are also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mask dance.
    Performing arts including mask dance are handed down with music culture. Out of remains in the times of Gojoseon, diverse data of musical instruments support a level of music or performing arts in the times of Gojoseon. Melody instruments including Gonghu, a string instrument, and Seokgyeong, a percussion instrument, are ahead of China. In addition, there were diverse kinds of music instruments such as a wind instrument and a metal instrument including a flute, a bronze bell and a drum made of bones. Musical instruments such as bone flute, Seokgyeong and bronze bell like jade mask or bone mask can be remained for a long time. Therefore, on the basis of such remains of music instruments, it is guessed that mask dance culture and performing arts in a considerable level would be formed in the times of Gojoseon, considering music instruments, music culture and performing arts in the times of Gojose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not indulge in transmitted rumors at the time of reviewing remains and records in ancient times enough when the origin of folk culture is research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