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V 광고 춤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gender image)연구 (Gender images shown in dancing in TV commercia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0.07
17P 미리보기
TV 광고 춤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gender image)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19권 / 29 ~ 45페이지
    · 저자명 : 오주연

    초록

    본 연구는 TV 광고 춤의 움직임과 시선 활용을 살핌으로써 광고 속 새로운 젠더 이미지의 양상을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미디어 속 젠더에 대한 선행 연구는 주로 여성의 성이 성적으로 대상화되고 섹슈얼리티의 전형성을 강화하면서 남성은 시선의 주체, 여성은 객체로서 이분화되는 것에 주목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섹슈얼리티의 강조는 여성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나아가 시선의 주체로서의 남성과 그 대상으로서의 여성이라는 전통적인 젠더 이미지가 해체되는 것에 주목하였다.
    연구 대상은 행위자(댄서), 춤과 상품 유형에서 대표성을 띠는 2000년대 국내 주요 방송사에 방영된 네 편의 광고로 선정하였다. Laban의 에포트 이론(Theory of Effort)을 활용해 움직임을 분석하였으며 여기에 Berger(1972)가 제시한 직접적·간접적 시선, 교류적·비교류적 시선 구분을 댄서에게 적용하였다. 또한 TV 광고 춤의 메시지가 최종적으로 영상 이미지를 통해 전달된다는 점에서 이미지의 프레임, 샷, 장면 전환, 카메라 앵글, 색, 조명, 구성을 분석하여 최종적인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댄서들은 움직임의 측면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전형적인 섹슈얼리티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시선의 활용에 있어 여성은 주체, 남성은 객체가 되며 남녀 댄서 모두 관객이 바라보는 선망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새로운 젠더 이미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여성이 섹슈얼리티를 강조하고 남성이 바라보는 시선의 대상이 된다는 것과 상반되는 입장이다. 먼저 움직임을 살펴보면 여성은 동물적이고 유연하며 관능적인 움직임을, 남성은 기계적이고 강하고 마초적인 움직임을 보이면서 고유의 성적 매력과 섹슈얼리티를 극대화 시켰다. 구체적으로 여성은 상체 위주의 빠르고(Quick Time) 직접적인(Direct Space) 에포트에 하체의 느리고(Sustained Time) 무거운(Strong Weight) 에포트를 포함한 동작 충동(Action Drive: Space&Time&Weight) 에포트 조합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바닥에서의 회전 동작 위주의 무겁고(Strong Weight) 절제된(Bound Flow) 에포트에 회전에 따라 가속도가 붙으며 빨라지는(Quick Time) 에포트를 보이면서 열정 충동(Passion Drive: Weight&Flow&Time) 에포트 조합을 보였다.
    여기에 시선 분석을 적용한 결과 여성은 깨어있는 상태(Awake State: Space&Time)의 에포트 조합에서 카메라를 직접적으로 응시하는 시선의 주체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꿈같은 상태(Dreamlike State: Flow&Weight)에서 카메라를 응시하지 않는 간접적인 시선의 객체인 것으로 드러났다. 나아가 남성과 여성 댄서 모두 관객에게 비교류적 시선을 보이면서 관객들의 교류적 시선을 받으면서 선망의 대상이자 주체적인 퍼포머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성과 여성 모두 움직임의 측면에서 섹슈얼리티를 강조하지만 여성은 행위의 주체로서, 남성은 오히려 시선의 대상이 되며 또한 남녀구분 없이 선망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이분법을 해체하며 새로운 젠더 이미지를 제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nder images by analyzing movement and gaze of dances in television commercials. Previous researchers focus mainly on the dichotomy between males and females saying that female models are an object of seeing of menʼs gaze by highlighting the stereotype of sexuality. This research, however, claims that men also emphasize their sexuality and be the object of seeing and that women are an active subject of seeing, representing a new gender image in the 21th century.
    Specifically, it deals with four representative dances shown in TV commercials focusing on its movement and gaze. The movement was analyzed based on Labanʼs Effort Theory and then integrated it to Bergerʼs classic study about gaze which includes direct/indirect and transactive/non-transactive gaze. Also, analyzing the visual images - frame, shot, scene transition, camera angle, color, light, composition of image- substantiated it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dancers enhance the traditional sexuality in terms of its movement. Female dancers create animal-likes image with the sexual wave of upper body and show Quick Time and Direct Space Effort mainly, while male dancers show machine-likes image with strong turning movement in the floor, presenting Strong Weight and Bound Flow Effort. Given that the dancersʼ gaze, however, it presents the opposite interpretation. Women display the direct gaze as a subject of sight based on Awake State. On the other hands, men demonstrate the indirect gaze as an object of seeing in Dreamlike State. Meanwhile, all dancers take a role as an active performer which presents non-transactive gaze regardless of the sex. In conclusion, although the dancers emphasize their stereotype of sexuality via movement, they present new gender images through their gaz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