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자(孔子)의 미학사상을 통해서 본 한국춤의 심미성(審美性) 연구: <문묘일무>・<강선영류태평무>・<동래학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Korean Dance through Confucius' Aesthetic Thoughts the Focusing on: )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7.06
16P 미리보기
공자(孔子)의 미학사상을 통해서 본 한국춤의 심미성(審美性) 연구: &lt;문묘일무&gt;・&lt;강선영류태평무&gt;・&lt;동래학춤&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45권 / 67 ~ 82페이지
    · 저자명 : 강기화

    초록

    인간과 예술이 천지자연과 순응해야 한다는 한국춤의 사유는 공자(孔子)의 천인합일적 사유와 상통 한다. 그리고 올바른 인성과 건강한 육체의 조화라는 미학적 사유와 연결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자 의 언술(言述)이 갖고 있는 미학적 특징인 천인합일과 극기복례를 통해서 한국춤의 심미성(審美性)에 하여 알아보았다. 첫째, <문묘일무>는 인간개체의 덕성과 인격의 완성을 이루며, 더 나아가서는 아름 다운 인간사회를 건설하여 자타가 함께 어우러지는 인간중심의 특징을 지닌 인성 미학적 성격을 지니 고 있다. 둘째, <강선류태평무>는 청빈한 행실이 사회 공동체에 향을 미쳐 모든 백성들이 질서를 이룬 사회에서 풍요롭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은 천지자연의 조화와 질서 의 한 형태로서, 하늘과 지상을 매개한다. 셋째, <동래학춤>은 한량이 학춤을 추었다는 것은 학이 지닌 유가의 도덕적 숭고함을 표현한다. 감상자가 가지는 심미의식은 학춤을 통하여 천도와 인도가 합일하는 도덕적 숭고함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idea of Korean dance that humanity and art should conform to the nature of heaven and earth is in common with Confucius' Confucian thought of Confucius. And it is connected with the aesthetic reason of harmony of right personality and healthy body. This study analyzed the aesthetics of Korean dance through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and I Keji Fuli between the as aesthetic feature of Confucian textuality. First, Munmyoilmu has a human the aesthetics nature and aesthetic character with a human the centered feature that makes up the virtue and personality of individuals and further builds a beautiful human society together with oneself and others. Second, the Kang Seon‐yeong style Taepyeongmu Dance endeavors to make a world in which a pervasive behavior affects the social community and all people can live in a society where order is fulfilled. It is a form of harmony and order of the heaven and earth, mediating the sky and the earth. Third, Dongraehakchum Dance with an idle creature of the gentry’s dancing, expresses the moral nobility of Confucianism that the crane possesse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viewer can be seen through the dance of the moral sublime of the coexistence of heaven and ear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