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월>의 춤에 나타난 신체적 내러티브 (Physical Narrative in the Dance of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1.08
14P 미리보기
&lt;유월&gt;의 춤에 나타난 신체적 내러티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기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기예술연구 / 23권 / 3호 / 265 ~ 278페이지
    · 저자명 : 김현정, 이영석

    초록

    이 연구는 2019 한국예술종합학교 영화과 졸업 작품인 댄스영화 <유월>에서 춤 퍼포먼스를 통한 스토리텔링 구현 방식과 그 의미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일반적으로 국내 댄스영화는 춤과 노래가 극 안에서 동일한 비중을 가지고 뮤지컬영화로 재탄생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달리 이 작품은 대사의 비중을 낮추고 다양한 춤 장르를 ‘크로스오버’하여 신체적 퍼포먼스를 실행하고 있다. 신체적 퍼포먼스는 극 중 상황에서 인물의 심리를 반영한 모습으로 드러나며 관객은 인물의 움직임을 관찰함으로서 역동적이고 강렬한 에너지와 함께 자아 찾기의 여정의 동반자가 된다. 즉 <유월>의 신체적 움직임은 단순한 춤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댄스바이러스’를 퍼포먼스의 형태로 구현함으로서 극 중 인물이 각자의 방식으로 자신의 욕구와 해방을 찾아가는 과정 자체인 것이다. 본고는 주인공인 어린이 유월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의 전개를 파악한다. 또한 움직임이 갖는 내러티브가 관객에게 어떠한 전이체험을 발생시키는가를 고찰한다. 과거 넌버벌 퍼포먼스가 배우의 액션을 통한 시각적 요소(Showing Image)의 제시에 그쳤다면, <유월>은 내러티브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각 인물의 섬세한 움직임을 퍼포먼스로서 적극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극의 내러티브 형성은 인물의 행동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에 대해 특정 장면을 언급하여 밝힌 후, 관객들이 각 장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상황과 춤의 연결로 극의 흐름을 면밀히 분석한다. 관객은 움직임의 내러티브(narrative)를 통해 댄스영화에서 연극적 상상력과 몰입을 더할 수 있으며 감독이 의도한 메시지와 관련하여 다각도적인 해석으로 작품 감상에 흥미를 얻게 될 것이다. 이때 관객은 움직임의 내러티브(narrative)를 따라가며 인물의 여정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여 심리 신체적 전이체험을 이루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기본적 고찰에 이어 본격적으로 크로스오버를 통한 넌버벌 퍼포먼스가 어떻게 작품의 내러티브를 형성하는지 고찰하고, 주인공의 심리가 춤을 통해 어떻게 표출되어 관객의 전이체험으로 이어지는지 분석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hod and meaning of storytelling through dance performance in the dance film <Yuwol>, the graduation work of the 2019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Film Department. In general, domestic dance films tend to be reborn as musical films, with dance and song having the same weight in the play. On the contrary, this work lowers the weight of dialogue and ‘Crossover’various dance genres to perform a physical performance. The physical performance is revealed as a reflection of the character's psychology in the situation in the play, and by observing the character's movements, the audience becomes a companion on the journey of self-discovery with dynamic and intense energy. In other words, the physical movement of <Yuwol> is not just a simple dance, but the process itself in which the characters in the play find their own desires and liberation in their own way by implementing the ‘Dance Virus’in the form of a performance.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with the main character, Yuwol, a child. It also examines what kind of transference experience the narrative has in the audience. In the past, non-verbal performances were limited to the presentation of visual elements (showing images) through the actors' actions. In order to effectively reveal the narrative, <Yuwol> actively attempted the delicate movements of each character as a performance. Specifically, after mentioning specific scenes about how the narrative formation of the play is revealed in the actions of the characters, the audience closely analyzes the flow of the play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situation and the dance that the audience can infer through each scene. The audience will be able to add theatrical imagination and immersion in the dance film through the narrative of the movement, and will be interested in appreciating the work with a multi-faceted interpretation in relation to the message intended by the director. At this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audience follows the narrative of the movement and accepts the character's journey as their own to achieve a psychophysical transition expe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기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