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윤의 예술 모티브: 춤 (Oh Yoon's Art Motivation: Da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1.05
33P 미리보기
오윤의 예술 모티브: 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문화연구 / 27호 / 145 ~ 177페이지
    · 저자명 : 배종민, 홍윤리

    초록

    오윤(吳潤, 1946~1986)은 한국 민중미술운동의 선구자였다. 판화 운동을 개척하고, 최고의 예술적 성취를 이룬 예술가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윤의 예술 모티브 중에서 ‘춤’에 집중했다. 오윤에게 춤은 생활이자 동시에 예술 언어였다. 그는 분단과 전쟁, 독재정권과 민주화투쟁의 시대 모순을 전통춤을 모티브로 작품에 형상화하고자 온힘을 쏟았다. 평범한 일상이 비틀리고, 자칫 제 명대로 살 수 없는 현실이란, 어떠한 논리로도 정당화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오윤의 전통춤에 대한 관심은 가계의 배경과 민족예술운동의 분위기에서 비롯하였다. 그의 외가는 동래학춤의 전승자였다. 민족민중운동사에서 탈춤은 민족예술의 전형이자, 당대 현실 모순을 압축한 문화 선봉대 구실을 수행하였다. 1970년대까지 오윤의 전통춤에 관한 견해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1980년대를 전후해서 오윤의 춤에 관한 초점은 ‘탈을 쓰고 추는 전통춤’에서 ‘주술과 결합한, 생동하는 현실로서의 춤’으로 옮겨갔다. 이러한 오윤 예술의 변화는 진도에서 경험한 공동체 문화와 무속의 영향이 컸다. 이후 오윤의 작품에서 춤 모티브는 전통의 전승 혹은 변혁운동의 도구를 넘어서 생명(력)의 상상력으로 귀결되었다. 조형공간 위에 민중의 생명력을 확대하고 소환하는 제의가 되었다.

    영어초록

    Oh Yoon (1946-1986) was a pioneer of the Korean popular art movement. He was an artist who pioneered the engraving movement and achieved the best artistic achievements. This study focused on dance among Oh Yoon's artistic motifs. For Oh Yoon, dancing was both a life and an art language. He put all his energy into his work to embody the contradictions of the times of division, war, dictatorship and democratic struggle with the motif of traditional dance. I thought that ordinary daily life is twisted and cannot be justified by any logic. Oh Yoon's interest in traditional dance stems from the background of the household and the atmosphere of the national art movement. His mother's family was the winner of the Dongnaehak dance. In the history of the National People's Movement, Talchum was the epitome of national art and served as a cultural vanguard that compressed the contradiction of the reality of the time. The same was true of Oh Yoon's views on traditional dance until the 1970s. However, around the 1980s, Oh Yoon's focus on dance shifted from "traditional dance with a mask on" to "dancing as a living reality combined with sorcery". This change in On Yoon art was largely due to the community culture and shamanism experienced in Jindo. Later, in Oh Yoon's work, the dance motif went beyond the traditional tradition or the tools of the transformation movement and resulted in the imagination of life (vitality).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vitality of the people and summon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