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택농악 판제 내 무동쩍쩍이춤의 연행춤사위 분석 (Analysis of Transition and Archetype of the Pyeongtaek Nongak Jjeok-Jjeok-yi Danc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7.11
15P 미리보기
평택농악 판제 내 무동쩍쩍이춤의 연행춤사위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체육학회지 / 56권 / 6호 / 431 ~ 445페이지
    · 저자명 : 태혜신, 정복철

    초록

    중요무형문화재 제11호이자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 평택농악의 쩍쩍이춤은 그동안 전문가들에 의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그 연행형식에 대해서는 일치된 견해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에 면밀한 문헌고찰 및 현 인간문화재김용래 명인과의 심층인터뷰 그리고 현존하는 쩍쩍이춤을 영상촬영 분석하여 연행형식과 전승양상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쨰, 쩍쩍이춤은 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 기록보존 작업을 기점으로 판제명칭이 ‘쩍쩍이’에서‘쩍쩍이춤 (연풍대)’으로 개칭 및 분리 형태였던 ‘쩍쩍이’와 ‘연풍대’ 판제가 하나로 통합되었다. 둘째, 이로 인해, 종전의 쩍쩍이 판제에 한정되었던 ‘쩍쩍이춤’의 동작 범위가 현재는 연풍대 가락의 ‘사미춤’까지 확대 해석되었다. 셋째, 현존 김용래 명인의 쩍쩍이춤에는 그동안 단순 일 형태로 제시되었던 기록 이외에도 다양한 께끼춤(일명, 무동께끼춤) 동작들이 포함되어있었다. 이와 같이, 무형문화재는 살아있는 문화성으로 인해 그 전승과정 속에서 필연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지닌다. 앞으로 무형문화재 변천과정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영어초록

    Many scholars and experts have conducted various studies on Pyeongtaek Nongak, which the Republic of Korea's invaluable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n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Nongak, and have yet to reach the consensus about its archetype. Based on this, studied the archetype of Jjeok-Jjeok-yi dance's video-recording data thereof as well as the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through the interview with a Kim Yong-Rae designated as one of Human Cultural Assets & Masters and people related to Pyeongtaek Nongak. As a result of research, A Jjeok-Jjeok-yi dance wa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1996, after the record preservation work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Pyeongtaek Nongak was arranged, and the name of Panje was renamed from ‘Jjeok-Jjeok-yi’ to ‘Jjeok-Jjeok-yi dance(Yeonpungdae)’, and the separated form panje, ‘Jjeok-Jjeok-yi’ and ‘Yeonpungdae’. In the past, ‘Kkekki dance’, a dance movement distinct from ‘Jjuck-jjuck-yi dance’ in Pange, has now been integrated and renamed as ‘Jjeok-Jjeok-yi dance’, and the –Jjeok-Jjeok-yi dance range that belonged to ‘Yeongsan deodeuraegi rhythm(Jjeok-Jjeok-yi panje)’ only was expanded to ‘Yeonpungdae rhythm(Yeonpungdae panj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have characteristics that necessarily change in the course of the tradition due to the living culture. Therefore studing the transition process and analyszing the background, cause and feasibility can be another meaningful histirical record for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relics. It is necessary to have an active interest and study o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onumental cultural proper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