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천흥 기본춤의 궁중춤적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 Cheon-heung’s Basic Dance as the Korean Court Danc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3.05
25P 미리보기
김천흥 기본춤의 궁중춤적 특성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9권 / 2호 / 10 ~ 34페이지
    · 저자명 : 김경숙

    초록

    한국춤은 개인별, 지역별, 유파별 특성에 따라 다양하며, 각각 개별적 형태로 교육되어지고 있을 뿐 한국무용 기초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통합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 춤추고 연구되는 기본동작에 대해 분류해 본다면 전통 춤 교육을 위한 기본동작, 창작을 위한 기본동작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대부분의 전통춤 기본동작은 민속춤에 나타난 동작분석을 통해 제시된 것이 대부분이며, 창작을 위한 기본동작은 각 대학마다 유형이 다른 기본무를 들 수 있으나, 궁중춤 기본동작으로서 명확하게 정립된 것은 없다. 그러나 김천흥의 기본춤은 궁중춤을 계승 보전하며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국립국악원무용단과 연구회를 중심으로 기본춤의 성격으로 추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궁중춤적 특성을 추출해 봄으로써 궁중춤의 기본무로서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현재 추어지고 있는 김천흥의 기본춤을 아랫몸 사위, 윗몸 사위, 온몸 사위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궁중춤의 본질적인 움직임의 특성을 밝혀낼 수 있었다.
    김천흥의 기본춤이 궁중춤의 특징과 합일되는 것을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면, 첫째, 발디딤에 있어서는 3단계를 거치면서 다음 디딜 발을 들고 준비하는 일관된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반복되고 있었다. 이러한 3단계 움직임 보법은 상하 폭이 항상 일정하여 절제되고 안정된 호흡을 통한 궁중춤만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갖게 하는 근원이다.
    둘째, 기본춤에는 옆으로 딛음과 동시에 한팔을 옆으로 펴들고 다시 반대쪽 옆으로 딛음과 동시에 들었던 팔은 내리고 반대팔을 펴드는 사위가 첫 시작으로 좌, 우 대칭을 통한 조화와 균형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궁중춤의 특징인 조화로운 균형을 이루는 대칭을 중요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윗놀림 사위에서 대칭을 이루는 춤사위로 궁중검무에서 볼 수 있는 한쪽 팔 펴든 사위, 춘앵전 및 무산향 등의 이수고저와 같은 한팔 가슴앞에 엎어 들고 다른 팔 펴든 사위, 춘앵전의 비리와 같은 한팔 어깨앞 위, 다른 팔 뒤 아래 사선으로 들었다가 양팔 구부린 사위, 한팔 앞에 다른 팔 뒤에 뻗쳐 든 사위, 한팔 앞사선 일직선으로 들고 다른팔 어깨 위사선으로 드는 사위, 한팔 앞에 다른 팔 뒤에 높이 펴 든 사위, 춘앵전의 좌우일대전(左右一大轉)이나 과교선, 무산향 등 궁중춤에 기본적으로 많이 나오는 두팔 펴든 사위 등이 있었다. 이는 한삼을 사용하기 전 올바른 자세로 궁중춤을 연습하는 기본춤으로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넷째, 1박1보로 딛되 네 방위의 방향을 지켜 오른쪽으로 1회, 왼쪽으로 1회 도는 것은 춘앵전의 타령 중 낙화유수, 회파신에 나오는 보법으로 땅(地)을 상징하는 네모의 모양을 지키고, 윗놀림은 두 팔 펴든 사위로 돌게 됨으로써 둥근 원 모양의 하늘(天)을 상징하고 하늘과 땅 사이 인간이 있음을 의미하는 삼사상을 형상화한 것으로 우리 춤뿐만 아니라 음악과 그림의 근간이 되는 한국인의 심층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삼세계를 기본춤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두 손을 모아 여미는 사위는 궁중춤의 처음과 끝 예를 갖춰 염수하고 절을 할 때 사용되는 동작으로 두 손을 모은다는 것은 마음을 모아 예를 드리는 행위로 숙임과 모심이라는 우리 고유의 정신사상이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김천흥의 기본춤은 궁중춤의 원리와 사상을 아주 명확하고 분명한 동작으로 구성해 놓은 유일한 기본동작들로서 그 의의가 크며, 전문가 뿐 만이 아니라 초보자가 체계적으로 궁중춤을 쉽게 이해하고 익힐 수 있게 함으로써 민족적 심성을 대변하는 궁중춤의 세계에 올곧게 입문하게 하여 우리 문화와 예술에 대한 자긍심과 함께 정서적 안정감까지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Korean dances vary depending on individuals, regions and schools, and their education mostly resorts on individual inheritors, which means a comprehensive integration of elementary courses on Korean dance has yet to be done. Basic motions currently performed and studied are largely divided into basic movements for traditional dance education and those for creative dances.
    Most basic motions of traditional dances hav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folk dances, and each university has developed different types of basic movements for creative dances: yet,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basic movements for Korean court dances. However, Kim Cheon-heung’s basic dance is fully recognized by national dance companies and academies, which have been consistently involved in the succession and conservation of court dances, and has established its status and significance as a basic dance for Korean court danc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Kim’s currently performed basic dances are divided into lower body motions, upper body motions and whole body motions, which consequently shows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court dance movements.
    The overlapping features of Kim’s basic dances and court dance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s footsteps have consistent and repetitive three stages with the next step prepared by lifting up the foot. This three-stage footstep, with its always consistent vertical movement, is a source of unique beauty of court dances through self-composed and stable breathing.
    Second, as with court dances characterized by harmonious equilibrium and symmetry, Kim’s basic dance clearly emphasizes harmony and balance: they start with a side step and one arm held out sideways, and then the opposite side step and the same time, the upheld arm coming down and the other arm unfolding.
    Third, symmetrical upper body movements of Kim’s basic dance are as follows: the motion of one arm held out as in Gungjung Geommu, the court sword dance; the motion of one arm held upon chest and the other arm unfolding as in Isugojeo of Chunaengjeon, dance of the spring nightingaler and Musanhyang, fragrance of dancing mountain dance; the motion of one arm in front of and above shoulder and the other arm held behind the back oblique and then both arms bending, the motion of both arms unfolding, one front and the other back, the motion of one arm in the front holding straight and oblique and the other above shoulder oblique, the motion of both arms holding up high, one in the front and the other back as in Biri of Chunaengjeon, the motion of both arms unfolding as in Chunaengjeon, Gwagyoseon, Musanhyang and many other court dances. These movements are of great significance as elementary courses for practicing right poses before wearing hansam, sleeve extensions.
    Fourth, Kim’s basic dance integrates the 1 step 1 time movement turning one step right and one step left equally in four directions. It is the footstep seen in Nakhwayusu and Hoepisin of Chunaengjeon, representing a square, a symbol of the earth, while the upper body motion of turning with both arms up represents a circle, a symbol of the heaven, and there stands a man in between. The Heaven-Earth-Human idea lying deep down in Korean psychology as a foundation of Korean music and paintings as well as dances is naturally embodied by Kim’s basic dance.
    Fifth, the motion of both hands gathered overlapping is used in court dances to present bows at the beginning and in the end. Hands folded together represent wholehearted courtesy of modesty and service, reflecting Korea’s traditional values.
    Kim Cheon-heung’s basic dance retains a significance as a unique set of basic motions embodying the principles and philosophies of Korean court dances with clear and accurate movements. By helping beginners as well as professionals easily yet systematically understand and practice court dances, a symbol of the national empathy, it can contribute to heightening emotional stability and pride in our art and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