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남장끼춤 「두꺼비춤」 연구 + (Study of Yeongnam Talent Dance Toad Dance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3.03
24P 미리보기
영남장끼춤 「두꺼비춤」 연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68권 / 19 ~ 42페이지
    · 저자명 : 강주미

    초록

    이 연구는 부산 동래지역 두꺼비춤 의 연행배경을 추론하고, 음악과 의상, 주요 동작을 기록하고 감응미학적 해석을 통해 사라져가는 주요 장끼춤인 두꺼비춤 을 탐구한다. 이 연구의 주요 대상은 1984년 6월 22일 국립극장 소극장에서 공연된 제53회 무형문화재 정기 공연에 출연한 바 있는 김희상(1924-1995)의 두꺼비춤 이다. 이 연구에서 김온경(1938-)의 구술 증언을 통해 두꺼비춤 의 주요 연행장소가 기방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마당춤의 홀춤으로 추어졌던 장끼가 기방에서는 암수놀음의 쌍춤으로도 추어졌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또 1984년도부터 1998년까지 진행되었던 두꺼비춤 공연의 신문기사와 박진주(1936-1986)의 촬영본인 8mm 영상자료가 담긴 KBS 방영 영상본 및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 및 해석하여, 즉흥성을 기반으로 하는 춤사위 특징, 실외와 실내를 오가는 연행장소성, 감응미학적 원리를 통한 ‘유희’와 ‘기원’의 새로운 상징성, 독특한 모의적 의상, 동래 덧배기 장단의 두꺼비춤 호흡 등의 특성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ical roots of the "Toad Dance" that emerged in Dongnae, Busan and documents its music, costumes, and major mov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resonance aesthet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Toad Dance performed by Kim, Hee-sang (1924-1995) at the Small Theater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on June 22, 1984.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an interview with Kim, Onkyeong (1938-), the study reveals that the main performance space for the Toad Dance was Gibang (an indoor entertainment space). Kim also disclosed that the Toad Dance was performed by a male-female couple in the Gibang, but by one person in the outdoor space. Through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n multiple performances of the Toad Dance from 1984-1998, as well as video and archival sources of the Toad dances documented by Park, Jinju (1936-1986), the study articulat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Toad Dance: 1) The dance movements of the Toad Dance are generated based on improvisation; 2) The performance spaces for the Toad Dance include both outdoor and indoor areas; and 3) The Toad Dance symbolizes 'play' and 'origin', represents unique mimic costumes, and utilizes the breathing method based on the Dongnae Deotbaegi rhyth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