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지역축제로서의 단오(端午)의 지속과 변화 - 서울[京城]을 중심으로 -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Dano(端午) as a local festival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 Focused on Seoul (Keijyo)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8.06
43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지역축제로서의 단오(端午)의 지속과 변화 - 서울[京城]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50호 / 255 ~ 297페이지
    · 저자명 : 안주영

    초록

    전통적으로 단오에 행해지는 의례들은 한국의 근대화과정, 국가의 공휴일 정책의 변화로 인해 대부분 변화되거나 소멸되었다. 특히, 농업의 세시주기에 의존하는 농촌의 농민들과는 달리 다양한 생업을 가지고 있는 도시의 도시민들에게 일상의 세시주기는 국가의 시간정책에 의해 크게 변화될 수밖에 없었다. 전통적으로 단오에는 많은 의례가 행해졌다고 기록되는데, 일제강점기 서울(경성)에서 단오는 중요한 세시풍속으로 세시의례와 놀이가 행해져왔으며, 도시의 지역축제로서 점차 발전되어갔다.
    지금은 음력 오월 오일인 단오가 전통적인 세시풍속으로서의 위치를 많이 상실했으나, 한국의 4대명절 중의 하나인 단오는 일제강점기에 중요한 세시풍속으로 자리매김해갔으며, 일제강점기의 각 시기별로 지속과 변화를 겪어왔다. 본고에서는 식민지라는 상황속에서도 고래로부터 이어온 전통적인 세시풍속으로서 단오를 지켜온 서울(경성)인들의 단오날의 풍경을 당시의 신문, 잡지들 중 세시풍속 관련기사가 가장 많이 게재되었던 『매일신보』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의 단오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해서 살펴볼 수 있는데, 1925년부터 1933 년까지는 단오 지역축제의 절정기로 전국에서 크고 작은 지역축제가 활발히 개최되었다. 먼저 1910년대는 일제의 무단통치기로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기까지 경성의 단오는 남묘와 동묘를 중심으로 그네뛰기와 씨름대회가 개최되었고, 창포물에 머리를 감거나 단오빔을 입고 참배를 하는 등 세시의례가 행해지는 세시명절로서 기능하였다. 1920년대의 문화정치기에는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의 한국어 신문 발행이 허가되면서 조선의 전통 세시명절인 음력 단오절의 각종 행사와 축제들이 매년 보도되었고, 단오 관련 행사는 각종 신문사나 각 지역의 여러 단체들로부터 후원을 받거나 주최가 되어 개최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 중반 이후에는 일제의 황국신민화정책과 민족말살정책이 본격화되면서 음력 단오에 대한 부정적인 기사가 증가되기 시작하였고, 전쟁의 그림자가 짙게 밴 1940년대의 경성에서 단오는 더 이상 지역축제로서 기능하지 못하였고, 쇠퇴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비록 1941년부터 1945년까지는 전쟁이라는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단오축제가 중단될 수밖에 없었으나 1940년까지 전국의 주요 도시에서는 음력 단오절을 맞이하여 씨름대회와 그네뛰기대회를 포함한 각종 크고 작은 세시 행사들이 꾸준히 개최되었고, 경성인들에게 음력 단오는 중요한 세시명절이자 지역축제로 인식되어 왔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rituals traditionally performed at Dano were mostly changed or destroyed in the course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 due to the national holiday policy change. Especially, people in the cities who have various occupations unlike the farming people in the rural area do not place much importance on the times and seasons. To them national holiday policy is more important than the time and season of the nature. It is recorded that many rituals have been performed in Dano.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n Keijyo (Seoul), Dano was an important seasonal customs and various ceremonial rituals and plays were performed. It became gradually developed into a regional festival of the city.
    Although Dano, the fifth day of May in lunar calendar, lost its position as the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now, it used to be one of the four big holidays in Korea.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t became the important seasonal customs and has undergone changes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Maeil Shinbo' and 'Dong-A Ilbo' reported scenery of Keijyo (Seoul) at the seasonal customs most frequently among the contemporary newspapers and magazines. This study looked at the scenery of Dano of people in Seoul (Keijyo) who kept Dano as the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in the colonial situation and analyzed Dano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by dividing the period into three sub-periods. First, in the 1910s until 1919 when the March 1 independent movement took place, it was the period of the military government. During the rule of the Japanese military government, Dano festival was held in the city center centered on Nammyo and Dongmyo. In the festival Swing Play and Ssireum contests were held. People washed hair with water infused with sweet flags and went to worship dressed up with new dresses called Danobim. In the second period of 1920s (Period of Cultural Policies) the issuance of Korean newspapers such as 'Dong-A Ilbo' and 'Chosun Ilbo' was permitted. In these newspapers, various events and festivals of Dano, a traditional festive holiday of Chosun, were reported annually. Events related to Dano were sponsored or hosted by Newspapers and various local organizations. However, after the mid-1930s, the Japanese colonialism and national extermination policies became enforced in full scale, and negative stories about the Dano festival began to increase. In the 1940s when the shadow of the war is dark, Dano was no longer functioning as a seasonal festival, and had to suffer a decline. However, until 1940, Dano had been celebrated in major cities throughout the country holding various ceremonies, including the Ssireum and Swing contest. As a matter of fact, Dano was re cognized as an important seasonal holiday by people in Seoul (Keijy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