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祖의 『孟子』論(Ⅰ) - 『鄒書春記』를 중심으로 - (King Jeongjo(正祖)'s Comprehension of the Book of Mencius(『孟子』)- Focusing on Discussions on the Book of Mencius in Spring(『鄒書春記』)-)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2.06
43P 미리보기
正祖의 『孟子』論(Ⅰ) - 『鄒書春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23호 / 45 ~ 87페이지
    · 저자명 : 정일균

    초록

    본고에서 필자는 正祖의 『鄒書春記』에 나타난 『孟子』觀 및 經學思想의 주요내용을 일별하여 보았다. 여기서 정조는 자타가 공인하는 당대의 ‘君師’로서, 자신의 수준 높은 經學的 蘊蓄과 經世學的 經綸을 유감없이 발휘․천명하였던바, 이는 곧 ① 『周禮』로 상징되는 ‘일원적 中央集權體制의 확립’과 이를 바탕으로 한 ‘王道政治의 구현’이라는 정치적 상상력을 투사시키고 있는 ‘帝王學的 『孟子』觀’의 표명, ② ‘程朱學에 대한 배타적 崇拜’의 태도와 ‘程朱學的 儒敎道統觀의 재확인’을 요체로 하는 ‘親程朱學的 經學觀’의 천명, ③ 학문에 있어서의 ‘聖人을 목표로 한 立志’와 더불어 ‘倫理的 實踐性’을 일차적으로 중요시하는 ‘切問近思的 實地工夫’의 강조, ④ 정확한 경전이해와 관련하여 ‘經文과 『集註』의 우선시’ 및 이를 통한 ‘義理의 추구’를 그 핵심으로 하는 ‘獨自的 經傳解釋方法論’의 제시, ⑤ 전통적인 ‘儒敎的 王道政治論’을 궁극적 이상이자 현실적 출발점으로 하여 ‘人爲的 時務改革’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王道主義的 改革政治論’의 전개, ⑥ 당시 조선왕조의 科擧制度 및 朋黨政治의 餘弊에 대한 문제의식을 골간으로 하는 ‘朝鮮의 政治․社會現實에 대한 經學的 批判’의 제기 등으로 구체화된 바 있다. 결국, 이상과 같은 정조의 경학사상의 요체, 특히 그가 만년에 ‘君師’로서 꿈꾸었던 진정한 학문으로서의 ‘正學’의 본질이란 다름 아닌 ‘程朱學의 경학적 기반 위에 구축된 살아있는 民生學’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 of King Jeongjo(正祖)'s comprehension of the Book of Mencius(『孟子』) in his last years, expressed especially in his Discussions on the Book of Mencius in Spring(『鄒書春記』) are examined briefly. In this book, he made a display of his profound Confucian scholarship and statecraft in his capacity as a 'king and master'(君師) of the day. The main contents of it are as follows: ① King Jeongjo elucidated his original re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Mencius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centralistic political system and the realization of the rule of right(王道). ② He firmly expressed his dogmatic beliefs in the learning of Cheng Yi and Zhu Xi(程朱學) deliberately and repeatedly through a series of forum of Chogyemunsinjedo(抄啓文臣制度, The Royal Confucian Reeducation System of Civil Ministers holding a Junior Position) established as an annex in Gyujanggak(奎章閣, The Royal Academic Institute for the National Compilation). ③ He laid special emphasis on the Confucian learning of earnest questions and practical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to Chogyemunsin(抄啓文臣, The Junior Civil Ministers under the Royal Confucian Reeducation System) and Gaksin(閣臣, The Civil Ministers in Gyujanggak). ④ He presented his unique methodologies of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of Confucian classics including the Book of Mencius to them. ⑤ Lastly and on the other side, he not only developed his independent political theories of Confucian kingcraft, in which he upheld traditional Confucian political theory of the rule of right firmly, but also on the basis of them, he groped for the artificial reformation of the then Joseon(朝鮮) administrative systems positively. In conclusion, King Jeongjo's thoughts of Confucian scholarship and kingcraft mentioned above, especially his concept of a genuine learning seem to be a practical learning of the people's livelihood, based on that of Cheng Yi and Zhu Xi.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