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단 극복의 최전선: 강만길의 분단시대의 역사인식 과 통일전선 (The Forefront of Overcoming Division: Kang Man-gil's Historical Perception in the Era of Division and the United Fron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5.06
32P 미리보기
분단 극복의 최전선: 강만길의   분단시대의 역사인식  과 통일전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102권 / 125 ~ 156페이지
    · 저자명 : 정진아

    초록

    강만길은 1974년 실학의 근대성론 비판을 통해 ‘분단시대’라는 개념을 제기한 후, 분단 극복의 역사를 근현대사 속에서 실증하는 작업에 매진해 왔다. 그는 “민족분단의 역사를 청산하고 통일민족국가의 수립을 민족사의 일차적 과제로 삼는 시대”를 ‘분단시대’로 규정하는 한편, 식민 극복과 통일이라는 과제를 수행하는 민족운동의 주체적인 흐름을 중심으로 민족해방운동사를 재구성했다.
    강만길은 첫째, 독립운동을 단지 일제로부터의 독립만을 목표로 하는 항일운동이 아니라 새로운 근대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민족국가 건설운동으로 자리매김했다. 둘째, 사회주의운동을 민족국가 건설운동의 일주체로서 복권시켰다. 셋째, 일제시기 민족국가 건설운동이 좌우노선으로 분립되어 있는 것만이 아니라 통일전선을 형성하기 위한 끊임없는 투쟁의 과정이었다는 점을 실증했다. 이는 민족해방운동사를 식민과 분단을 극복하기 위한 근대민족국가 건설운동이자 통일민족국가수립운동으로서 체계화한 작업이었다.
    강만길의 연구는 남북이 일제시기 민족운동을 전유하고, 통일의 주역으로서 자임하는 분단국가주의적 인식을 극복하기 위한 치열한 고투의 과정이었다. 그의 연구를 계기로 한국의 민족해방운동사에는 통일전선의 역사가 공식 역사로 기록되었고, 통일전선과 통일운동 연구도 활성화되었다. 이는 그가 분단의 역사를 인식할 뿐 아니라 통일을 지향하는 실천적이고 수행적인 연구자로서 시대와 대중과 호흡하면서 역사학의 길을 열어 갔기 때문에 가능한 작업이었다.

    영어초록

    After criticizing the modernity theory of Silhak in 1974 and introducing the concept of the "Division Era," Kang Man-gil devoted himself to empirically establishing the history of overcoming national division within modern Korean history. He defined the "Division Era" as "an era that prioritizes eliminating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and establishing a unified nation-state as the primary task of national history." At the same time, he sought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by focusing on the subjective flow of national movements that carried out the historical tasks of overcoming colonialism and achieving unification.
    First, Kang positioned the independence movement not merely as an anti-Japanese movement aimed solely at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 but as a movement to establish a modern nation-state. Second, he restored the socialist movement to its rightful place as a principal actor in the nation-building movement. Third, he empirically demonstrated that the nation-building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not simply divided between left and right political lines but was an ongoing struggle to form a national united front. This work systematized the history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s both a modern nation-building movement and a unified nation-state establishment movement aimed at overcoming colonialism and division.
    Kang Man-gil's research represented an intense struggle to overcome the divided state nationalism where both North and South Korea appropriated the colonial-era national movements and claimed to be the legitimate leaders of unification. Through his research, the history of the united front was officially recorded in Korea's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history, and research on united front and unification movements was revitalized. This was possible because he not only recognized the history of division but also opened up a path for historical studies while engaging with his era and the public as a practical and performative researcher oriented toward un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