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산시의 장소성 연구 −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과 연계하여 − (The Study on the Placeness of Seosan - linked to Goun(孤雲) Choi Chiwon(崔致遠, 857∼?))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8.10
26P 미리보기
서산시의 장소성 연구 −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과 연계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57호 / 35 ~ 60페이지
    · 저자명 : 이홍식

    초록

    본고는 서산시의 새로운 장소성 형성과 고운 최치원의 상관성을 거시적 관점에서 정리한 논문으로, 본고에서는 기왕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최치원의 삶과 사상 및 행적과 업적 등을 일별하여 현재적 의미를 추출한 뒤에, 서산시의 지리적․역사적․문화적 특징과 연결하여 둘 사이의 상관성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나아가 현재 서산시에서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와 정책 등을 최치원과의 관련성 위에서 점검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서산시의 장소성 형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최치원 관련 유적과 유적지는 전국 곳곳에 늘려 있지만, 서산시의 지리적․역사적․문화적 소산이 최치원과 상관성이 가장 긴밀하다. 더욱이 귀국 후 고운이 보여주었던 국제적이고 개혁적이며 포월적인 면모가 서산시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문화가 어우러진 국제 관광 도시’ 및 ‘시민과 소통하고 공감하는 도시’와 잘 부합하는 만큼, 서산시를 ‘고운의 정신이 살아 숨 쉬는 장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은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열려 있다고 할 만하다.
    다만 서산시의 장소성 형성과 지속 가능한 역사문화 관광 자원 개발을 위해서는 최치원의 삶과 사상을 현재의 관점에서 생산적으로 수용하여 지속적으로 서산 시민의 삶과 그들이 향유하는 문화 속에 녹여낼 필요가 있다. 앞으로의 최치원 관련 콘텐츠 개발 방향 또한 여기에 맞춰져야 할 것이다. 최치원의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여 서산의 장소성을 새로이 구축할 필요가 있는데, 무엇보다 더 적극적으로 고운의 이미지를 선점할 필요가 있다. 최치원의 개혁적 정신은 시정에 적극 반영하고, 고운의 국제적 면모는 물류 및 관광 도시 개발 시 적극 활용하며, 고운의 포월적 인식은 역사문화 프로그램 개발 시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고운의 이러한 특징적인 면모와 서산의 장소성을 연계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제도로 뒷받침한다면 궁극적으로 ‘국제적인 도시, 서산’, ‘개혁적인 도시, 서산’, ‘포월적인 도시, 서산’, 즉 ‘고운의 정신이 살아 숨 쉬는 서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umma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a new place in Seosan and Choi Chiwon in macro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tracts current mea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on Choi Chiwon’s life, thoughts, actions and accomplishments. Then, this study is discussing with method which extracts correlation between the meaning and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eosan linked to the meaning. In addition, various contents and policies developed and operated by Seosan are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relevance to Choi Chiwon,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directions of formation of Seosan’s placeness are suggested.
    As a results, this paper pay attention to his international, reformative and communal aspects which are current meaning and values of Choi Chiwon. The relics and ruins related to Choi Chiwon have been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but the geographical, historical and cultural divisions of Seosan are most closely related to Choi Chiwon. Furthermore, the international, reformative, and communal aspect that Goun showed after returning to Korea is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tourist city with culture’ and ‘a city that communicates and sympathizes with citizens’ that Seosan wants to aim at. So, Seosan can be the place where ‘the spirit of Goun can live and breathe’ more than any other place.
    However, in order to form the placeness of Seosan and to develop sustainable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resources, the life and ideas of Choi Chiwon must be productively accepted in the present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issolve in the life of Seosan citizens and the culture they enjoy.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content related to Choi Chiwon should also be adjusted to above things. There is a need to build a new placeness in Seosan by actively utilizing the image of Choi Chiwon. Above all, Seosan need to positively preoccupy the image of Choi Chiwon. The reformative spirit of Choi Chiwon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municipal affairs, and the international aspect of Goun should be actively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logistics and tourism cities and the communal recognition of him must be positively reflected to develop historical and cultural program. If Seosan develops various contents and supports system by linking this characteristic aspect of Goun with the placeness of Seosan, ultimately, Seosan will be expected to become ‘International city, Seosan’, ‘Reformative city, Seosan’, and ‘the city where spirit of Goun is alive and breath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