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총동원시기 친일유림의 한시에 드러난 전쟁협력 논리 (Cooperation Logic of War Expressed in the Chinese Poem by Pro-Japanese Confucian Group During Total Mobilization Er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2.06
32P 미리보기
총동원시기 친일유림의 한시에 드러난 전쟁협력 논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35호 / 167 ~ 198페이지
    · 저자명 : 한길로

    초록

    본고는 일제가 일으킨 침략전쟁을 미화하는 친일유림단체의 전쟁협력 논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이 남긴 한시(漢詩) 속 시어들 사이에 내재되어 있는 협력논리와 그 근거에 대해 살피고 동원된 문학적 수사에 주목하는 것이다. 만주사변 이후 ‘전쟁총동원시기’에 발간 된 친일 유림단체의 ‘한시집(漢詩集)’으로는, ‘폭지응징(暴支膺懲)’을 외치며 일제가 일으킨 중일전쟁을 미화하기 위해 ‘경학원(經學院)’에서 발간한『성전성시집(聖戰誠詩集)』(1937)과 ‘아시아·태평양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실시한 징병제를 환영하는 내용의 조선유도연합회(朝鮮儒道聯合會)의『축징병제실시(祝徵兵制實施)』(1943)가 있다. 위 시집들은 한문학을 통해 일제의 침략전쟁에 협력하고 찬양하는 유림들의 내적 논리와 자발적 협력의지를 잘 드러내는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작품들은 대개 한시(漢詩)라는 형식미를 활용하여 문학적 특성을 드러내기 보다는 압축된 내용으로 일제의 정책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더욱 주력하고 있었다. 그 속에는 일제가 주창한 ‘내선일체(內鮮一體)’ ·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 정책을 수용한 그들의 논리가 잘 드러나 있다. 제한된 독자층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이들의 창작행위는 한자의 권위를 빌려 일제에 자신의 신념을 보이기 위한 친일의 도구이자 친일유림의 내부결속을 위한 기제이기도 했다. 이러한 작품들은 국문으로 작성된 문학작품들과 함께 ‘친일문학’의 범주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나아가 동아시아 한문학의 한 조류로서 대만이나 중국의 친일문학 작품들과의 비교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Researched support war of aggression in Chinese poetry and Cooperation logic of the pro-Japanese confucianist. The『Sungjonsungsijip(聖戰誠詩集』is a Chinese poem collection which is written by the members of Gyeonghakwon to praise the Sino-Japanese War that occurred in 1937 by the Japanese, and『Chukjingbyungjaesilsi(祝徵兵制實施)』is a poem collection which has messages of the welcoming of the draft system enforced by Japan to mobilize army of Koreans to fight in the 1943 Asia Pacific War.
    In this paper, the perception of East Asia and wars expressed in these poems are looked at, and from it, how the pro-Japanese confucianists supported and followed Japan and what their ideas were when they promoted these ideas against the people of Korea will be studied, as well as the notion of East Asia in the huge war of these groups. Through this, the personal meaning of pro-Japanese Chinese literatures in the long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that started from the united Silla era will be questioned, and the assignment related to them for the present people will be dra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