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요서와 요동지역 적석총문화의 상관성 검토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Stone Mound Tomb Culture in Liao-dong and Liao-xi area of Chin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0.02
44P 미리보기
요서와 요동지역 적석총문화의 상관성 검토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논리성
    • 신뢰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고고학적 관점에서 요서와 요동지역 문화의 심층적 비교 분석
    • 🔍 적석총문화의 지역별 차이점과 특수성 상세 설명
    • 📜 선행 문화와의 상관관계를 체계적으로 검토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라시아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문화 / 2권 / 79 ~ 122페이지
    · 저자명 : 오대양

    초록

    이 글은 요서와 요동지역 적석총문화의 상관성을 검토한 것이다. 만약 두 지역 적석총유적이 문화적 상관성이나 상호 계승관계에 있다면, 적어도 요서지역 초기의 것과 요동지역 후기유적 사이에 그러한 증거가 확인되어야 한다. 하지만 석재를 활용하여 묘실을 조성하고, 그 주변에 일정량의 석재를 쌓아 적석형의 분구를 두었다는 공통점 이외에 유적의 분포와 입지관계 및 출토유물 등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간취된다. 현대의 고고학에서는 단순히 유사한 형태와 기능을 가졌다고 해서, 서로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시간적 편차가 큰 유물·유적을 일방적인 전파나, 영향관계로 설명하지 않는다. 그것이 유사성을 띠게 되는 배경에는 수많은 가정과 경우의 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양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요서지역의 경우 묘실이 대부분 지하에 조성된 것과 반대로 요동지역의 것은 모두 지상에 배치된다는 점이다. 또한 무덤이 자리한 곳의 입지양상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무덤이 자리한 곳의 주변환경이 중요한 이유는 그것을 조영하였을 사람들의 자연관, 내세관, 신앙관 및 생활환경과 관련되었기 때문이다. 유적의 환경이나 위치를 달리하였다는 사실은 두 집단의 내세·신앙관과 함께 자연을 대하는 방식이나 생활습관이 달랐음을 내포 할 수 있다. 이처럼 묘실의 위치와 입지관계에서 드러난 사실은 두 지역 적석총문화인들의 내세·신앙관이나 생활습관이 서로 달랐음을 말해 주고 있다. 출토유물 역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물론 지역과 시간을 달리하여 축조된 관계로 부장품의 변화 상이 발생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하지만 홍산문화의 유물은 분명 당지의 선행문화인 조보구나 흥륭와문화와 어느 정도의 상관성이 인정된다. 요동지역 출토품 역시 당지의 선행문화인 소주산 상·중·하층 문화와 일정부분 상관성이 간취된다. 만약 요서와 요동 두 지역 적석총문화인들의 상관성을 논하고자 한다면 적어도 요서의 후기 부장품과 요동의 초기 것 간 에 유사성 내지는 영향관계가 입증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요서지역 신석기시대, 그중에서도 홍산문화의 적석총유적은 요동지역의 것과 연속성이나 계승관계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기 힘들 듯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ews the cultural correlation between the cairns in the Liaoxi and Liaodong regions. If the cairn relics in two regions have cultural correlation or succession relations with each other, there should be some pieces of evidence between those in the early times of the Liaoxi region and latter times of the Liaodong region. However, except for the common things that they utilized stones to make a tomb chamber and built a cairn-type mound by piling a certain amount of stones around the chamb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and location of relics and the buried relics therein. In modern archeology, the relics excavated in different regions are not interpreted to have had unilateral propagation or influential relationship just because they had similar forms or functions, as there are numerous assumptions and numbers of cases in their background of similaritie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the location of the chamber: most of the chambers were in the underground in the Liaoxi region. On the contrary, those were on the ground in the Liaodong region. Also, the locational aspect was quite differen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tomb is quite important cause it is related to the view of nature, the next life, religion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people that created the tomb. The fact that the environment and location of the relics were different means that their view of next life, religion, the way of living or the way to treat nature might have been different. The different location of the chambers tells that people of cairn culture in two regions had different views of next life, religion, or the way of living. The relics found there were quite different too. It is natural that there are changes in buried relics due to different building times and regions of the tombs. However, it is acknowledged that there are some correlations between the relics of Hongshan Culture and its precedent cultures which were Zhaobaogou Culture or Xinglongwa culture. The relics excavated in the Liaodong region had some correlation with the upper/middle/lower class culture of XiaoZhuShan culture, the precedent culture in the region. Talking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irn cultures in the two regions, Liaoxi and Liaodong, there should be at least the similarity or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buried relics of the latter times of Liaoxi and early times of Liaodong. In conclusion, it is hard to link the neolithic age in the Liaoxi region, especially cairn relics in Hongshan Culture among them, with the Liaodong region, in terms of continuity or succession re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