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촌동 고분군 적석총 출토 기와의 현상과 용도 (Characteristics and Use of Roof Tiles Excavated in Seokchon-dong Ancient Royal Tombs of Baekj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4.12
22P 미리보기
석촌동 고분군 적석총 출토 기와의 현상과 용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와학보 / 10호 / 6 ~ 27페이지
    · 저자명 : 정치영

    초록

    석촌동 1호분 북쪽 연접적석총에서는 수막새와 수키와, 암키와가 다량 출토되었다. 적석총 성토층에서 극소수 파편이 출토되었고, 절대 다수는 매장의례부에 집중되어 있었다. 형식상으로는 2종, 문양으로는 3종으로 구성된 수막새에 전문(錢文)으로 분류할 수 있는 새로운 문양이 추가되었다. 평기와는 백제 한성기의 두 갈래 제작전통이 반영된 非-와통 소산품과 와통 소산품의 공존, 격자문(주로 암키와)과 무문(주로 수키와)을 중심으로한 다종의 타날흔이 반영된 외면 양상, 미구의 단차가 뚜렷한 것과 미약한 것이 포함된 수키와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양상은 풍납토성에서 보이는 기와의 다양성과 부합한다. 특히 풍납토성 경당지구나 197번지마-1호 건물지 출토 기와들과 비교될 만한 점이 많다. 다만, 연화문이나 수면문 막새가 없는 점, 점토판 소산품이 확인되지 않는 점은 큰 차이점이다. 석촌동 3호분과 4호분 일대에서도 막새를 포함한 다량의 기와가 출토된 바 있지만 제반 특징이 비교적 단순하여 연접적석총의 기와들과 차이를 보인다.
    종래 석촌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기와의 용도에 대해서는 적석총의 묘상건물이나 의례관련 부속 건물의 지붕 부재 또는 4호분과 같은 성토식 적석총 상부의 봉토를 덮었을 것으로 추정한 견해들이 제기된 바 있다. 다만 이를 입증할 만할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어서 연구의 진전에 한계가 있다.
    본고에서 분석한 석촌동 1호분 북쪽 연접적석총의 기와는 출토 맥락이 명확한 자료로서, 유구의 상황과 유물의 현상, 공반 유물의 양상을 고려할 때 화장이 이루어진 상장례 시설인 목조 구조물의 지붕이나 상부에 시공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A large number of roof tiles were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in Seokchon-dong, Seoul, the royal cemetary of Hanseong period in Baekje. The recently excavated burial ritual part of the Connected Stone-mound Tomb was concentrated with roof tiles along with cremated bones and many earthenwares.
    The tiles of the connected stone mound are consistent with the diversity seen in Pungnaptoseong. These contain two traditional tiles related to whether or not to use the circular frames.
    A number of tiles, had also been excavated in the area of Tomb No. 3 and No. 4. All of these were made using circular frames, showing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tiles.
    As for the use of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Seokchon-dong, opinions have been raised that are presumed to be used on the roof of memorial building in or on the tomb or to cover the tomb directly.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progress of research because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to prove this. It is presumed that the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connected stone mound tombs in Seokchon-dong were used for wooden structures or buildings for cre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