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산 부부총의 매장 프로세스와 성격 재검토 (Burial process and features of Yangsan Bubuchong : A Review)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8.06
40P 미리보기
양산 부부총의 매장 프로세스와 성격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문화유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중앙고고연구 / 26호 / 59 ~ 98페이지
    · 저자명 : 이주헌

    초록

    양산지역의 중심고분군인 북정동고분군은 영남지역을 대표하는 삼국시대 고총고분 가운데 하나일 뿐만 아니라 신라의 고분문화가 낙동강 하류역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장 적합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양산 부부총은 5세기 후반대에 출현한 횡구식석실이라는 특이한 매장시설과 피장자의 사회적 지위를 보여줄 수 있는 금동관을 비롯한 여러 점의 금공품 및 다량의 토기와 철기, 그리고 5개체에 이르는 유해가 확인되어 추가장과 순장이 모두 이루어진 보기 드문 고분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은 실질적으로 매장주체시설의 세부적인 구조에 대한 기초적인 검토는 물론이고 주인공과 그 외 피장자들의 합장여부, 그리고 출토유물의 연대관 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충분하게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설로 굳어져 간 것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그 동안 축적된 조사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양산 부부총의 구조와 석실 내에서 발견된 피장자의 실체를 파악해 본다면, 발굴조사 시 봉토부에서 확인된 토층에 대한 잘못된 해석으로 석실 내 순장된 피장자를 추가장한 것으로 파악한 것과 신라에서 순장이 금지된 6세기 1/4분기 이후에도 여전히 순장의 장의습속이 진행되고 있으며 연속적인 고총고분의 축조가 강하게 유지되고 있는 정치집단을 신라의 직접지배로 인식한 기존의 연구는 극복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양산 부부총의 매장 프로세스를 통하여 본다면 양산지역은 문화적으로는 친신라적인 성향을 띠고 있지만, 장의습속과 중심고분군내에 지배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고총고분이 지속적으로 축조되고 있는 양상은 인정된다. 이는 해당지역의 지배집단이 아직 독자성을 가지며 실재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신라는 양산지역에 대하여 완전한 직접지배를 이루지 못하였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양산 부부총 이후에 북정동고분군에서 더 이상의 고총고분이 축조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아 6세기 2/4분기 이후 양산지역은 신라의 지방세력으로 급하게 재편됨과 동시에 지역의 중심고분군은 해체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ancient tombs in Bukjeong-dong, Yangsan are representativ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Yeongnam Region, and are valuable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the ancient tomb culture of the Silla Dynasty which spread to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Notably, Yangsan Bubuchong has side-entrance-type stone chamber tombs, a type of tomb that first appeared in the late fifth century and whose unique form distinguished it from preceding types of tombs. They were viewed as rare cases of ancient tombs associated with the custom of adding bodies to an existing tomb and the practice of sacrificial burial, with five individuals buried in one tomb and grave goods including gilt-bronze crowns, earthenware, and ironware, reflecting the high social status of the buried. Such view, however, was established without a basic examination of the burial structures or an in-depth research on the buried, i.e. whether they were buried together in one tomb, and which period the artifacts date from.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materials with materials from other parts of the Yeongnam Region will shed light on the structures of the Yangsan Bubuchong tombs and the social status of their occupants. An erroneous analysis of the soil strata of the tombs led some researchers to interpret the human remains as additional burials of the wives, instead of as sacrifices. The misinterpretation also implied that the custom of sacrificial burial was maintained until the first quarter of the sixth century, whereas the custom was officially prohibited by the Silla Dynasty by then. Thus, the idea that the continued custom of sacrificial burial reflects Silla’s direct control over the region needs to be reconsidered.
    Burial studies show that the inhabitants of present-day Yangsan were culturally pro-Silla but that they stuck to their traditional customs and accepted their traditional rulers’ authority - as shown by the burial process associated with the Yangsan Bubuchong tombs. This suggests that the local rulers still clung to their independence and that Silla had yet to exercise complete control over the Yangsan region. The traditional rulers of Yangsan were reduced to a provincial faction under Silla’s control and that the tomb site in Bukjeong-dong, Yangsan ceased to function as a cemetery for the local rulers from around the second quarter of the sixth century, given that no tombs dating from the era following the period in which the Yangsan Bubuchong tombs were built have been found at the si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