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일신라 금속공예의 성취와 국제교류: 국보 제174호 <금동 수정장식 촛대> (Artistic Achievements and International Exchange of Metalwork of the Unified Silla Period: Gilt-bronze Candlesticks with Inlaid Crystal Ornaments, National Treasure No. 174)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6.09
24P 미리보기
통일신라 금속공예의 성취와 국제교류: 국보 제174호 &lt;금동 수정장식 촛대&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0291권 / 290291호 / 43 ~ 66페이지
    · 저자명 : 신숙

    초록

    삼성미술관에 소장된 국보 제174호 <금동 수정장식 촛대>는 통일신라의 물질문화와 금속공예의 성취, 일본과의 교류 등을 알려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촛대는 조명기구로 초를 사용하게 되면서 새롭게 등장하는 공예품이다. 기름을 고체로 만들고 심지를 넣어 태우는 초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동양에서는 야생의 벌집에서 채취한 黃蠟과 백랍충의 분비물에서 얻는 白蠟을 주요 원료로 활용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봉밀과 밀랍에 대한 문헌기록이 남아 있어, 밀초를 제작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밀초는 기름을 쓰는 것보다 진보된 방식이지만 재료를 얻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에 왕실이나 귀족, 또는 종교와 관련된 특정 계층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물품이었다.
    <금동 수정장식 촛대>는 한 쌍으로 구성되었고 11조각으로 별도 주조한 후 조립하여 만들었다. 그리고 음각이나 양각, 어자문기법을 활용하여, 연화, 보상화, 덩굴무늬 등 다채로운 꽃문양을 시문하였으며, 48개의 백수정과 자수정이 장식되어 더욱 화려한 모습이다. 후대의 문헌이지만 경주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수정이 채굴된 기록이 전하고 있어, 촛대에 감장된 보석은 국내산일 것으로 생각된다.
    초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촛대와 함께 초심지가위도 필요하다. 초를 태울 때 일정시간이 지나면 심지를 다듬어 끝부분의 재를 없애야만 불꽃이 불규칙해지거나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심지절단용 가위는 날 부분에 높이를 가진 얇은 판을 부착하여, 자른 내용물이 빠지지 않게 고안한 형태로 만든다. 경주 월지에서 출토된 금동제 가위는 덩굴무늬처럼 굴곡진 손잡이와 반원현 금동판이 부착된 날 부분으로 구성되어, 심지를 자르는 데 쓰인 것을 알 수 있다. 앞면은 덩굴문을 선각하고 바탕에 어자문을 장식하였으며, 뒷면에는 문양이 없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철제로 만들고 형태도 단순한데 비해, 월지 출토품은 금동제로 외형과 문양이 화려하다. 용도와 재료, 꾸밈새 등으로 볼 때 <금동 수정장식 촛대>와 어울리는 유물이여, 재질과 장식기법, 문양 등에서 촛대와 공통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한편, 752년에 일본을 방문한 신라사절의 물품을 구입하기 위해 작성한 문서 <買新羅物解>중에는 꿀과 밀랍, 촛대가 기록되어 있다. 밀랍은 초의 원료이며, 奈良時代 유물이 현재 正倉院에 보존되어 있다. 근래의 성분 조사에서 正倉院의 밀랍이 동양종(Apis indica) 꿀벌이 만든 것으로 밝혀졌는데, 한국의 재래종과 같은 계열이다. 또한 기록에 표기된 燭臺가 <금동 수정장식 촛대>와 관련이 있고 일본의 귀족들이 애호했던 품목이었을 지도 모른다. 이러한 가정을 뒷받침하는 유물이 正倉院에 소장된 초심지 가위인데, 경주 월지 출토 가위와 크기, 외형, 용도 등이 매우 유사하다. 통일신라시대에 초와 촛대, 초심지 가위로 구성되 는 조명구 일체가 일본에 전달된 정황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초는 단순한 실내용 등화구가 아니라 왕실 의례의 권위를 높이고 불교 의식의 경건함을 강조하는 데에도 중요한 물품이었다. 따라서 초와 관련된 다양한 기물이 제작되었고 그것을 향유했던 계층의 미의식에 호응하면서, <금동 수정장식 촛대>와 <금동 초심지 가위>와 같은 수준 높은 공예품이 완성되었다. 촛대의 외형과 장식기법, 문양의 특징 등을 同時代 유물과 비교하고 역사적 상황을 고려하면 8세기 중엽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는 밀초에서 비롯된 새로운 문화를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발전시켰고 이러한 선진 문화를 다른 나라에 전파할 수 있는 국제적 역량을 갖춘 시대였다.

    영어초록

    The Gilt-bronze Candlesticks with Inlaid Crystal Ornaments (National Treasure no. 174) in the collection of Leeum, Samsung Museum of Art has significant research value, highlighting the accomplishments in metalwork and material culture of Unified Silla, as well as their trading relationship with Japan. Candlesticks attest the early use of candles. The origin of candles is unclear, but candles were generally made of yellow wax harvested from wild beehives and white wax obtained from the secretions of Ericerus pela. A historical record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on honey and wax suggests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beeswax candles. The use of beeswax candles is a more advanced method than using oil lamps. However, beeswax candles were only used by the royal court, aristocracy, and certain religion-related classe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obtain the material.
    This pair of Gilt-bronze Candlesticks comprised of eleven individually cast pieces, are gold plated. The candlesticks feature a diverse range of floral designs including lotus, peony, and floral scrolls, employing diverse techniques including incising, raising, and ring-punching. Moreover, the rock crystals and amethysts inserted in sockets add to the extravagance of the candlesticks. The rock crystals are presumed to be of Korean origin as there are records – though from later generations – that rock crystal was mined from a number of areas in Korea including Gyeongju. Though the form of the candlesticks originated from China, the candlesticks in question are an unparalleled example of metalwork with sophisticated and elaborate decorations. Along with the candlesticks, candlewick trimmers are essential for making use of candles effectively. The gilt-bronze candlewick trimmer excavated from Wolji Pond in Gyeongju has a half-circling frame around its cutting blade. This unique feature was adopted for preventing the trimmed wick from falling into the melted wax. The trimmer and the candlesticks share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ir use of material, decorative techniques, and design.
    A purchase register, Bai Shiragi Mononoge (買新羅物解), of the Japanese aristocracy in 752, lists items to be purchased from Silla, which includes honey, wax, and candlesticks. Wax has been used in various productions including candles, and the wax from the Nara period is preserved in the Shōsōin Repository. In a recent component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wax in the Shōsōin collection was of Apis indica, a homogeneous type to native Korean bees. Moreover, the “candlesticks” written in the register can possibly be related to the Gilt-bronze Candlesticks, which was highly likely to have been esteemed by the Japanese aristocracy. This presumption is supported by the candlewick trimmer in the Shōsōin collection, which is similar in size, shape, and use to the one excavated from Wolji Pond. This demonstrates that Unified Silla provided lighting sets composed of candles, candlesticks, and candlewick trimmers to Japan.
    Candles were not just used for lighting indoor but for raising the authority of royal protocols and emphasizing the piety of Buddhist rituals. Therefore, diverse objects associated with candles were produced, and highly sophisticated metalwork such as the Gilt-bronze Candlesticks and Gilt-bronze Candlewick Trimmer (Treasure no. 1844) were produced in response to the aesthetics of the class that enjoyed such objects. In comparis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decorative techniques, and design of the candlesticks with other metalwork of the time and in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the Gilt-bronze Candlesticks are possibly dated to the mid-eighth century.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y were not only capable of adopting and developing a new culture of wax candles, but also promoting the advanced culture of Korea to foreign socie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전